
함수형 프로그래밍(FP)는 계산을 수학 함수의 평가로 취급하고 상태 변경 및 변경 가능한 데이터를 피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React와 결합할 때, FP는 예측 가능하고, 모듈식이며, 유지 보수가 가능한 코드로 이어진다.여기 React 컨텍스트에서의 함수형 프로그
변수의 이름은 명사로 짓는다.함수의 이름은 동사로 짓는다.const handleClickButton = () => {} 모든 이름은 이름을 통해 그것이 무엇인지 유추할 수 있어야 한다.단수형과 복수형의 사용에 유의한다. 배열(리스트)값을 담는 변수는 복수형으로 작성한다

반복되서 사용된다면 재사용을 위해 분리내용이 너무 많아져서 가독성이 떨어지거나 코드의 응집성을 위해 분리한다.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막기 위해 state가 꼭 필요한 곳에 있도록 분리한다.애플리케이션의 각 페이지를 Route 컴포넌트를 사용해서 설정한다.정적 라우팅은 UR

React는 전역 데이터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 왜? props drilling때문prop drilling의 문제점깊이가 너무 깊어지면 이 prop이 어떤 컴포넌트로부터 왔는지 파악이 어렵다.어떤 컴포넌트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추적이 힘들어지니 대처가 늦는다.그래서 등

리액트에서 리렌더링이 빈번하게, 자주 일어난다는 것은 비용이 더 발생한다는 것이고 이를 줄여야한다.이런 작업을 우리는 최적화(Optimization)이라고 부른다.리액트에서 불필요한 렌더링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적화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아래 3가지가 있다.memo(Rea
예시로 간단하게 정리해놓고 넘어가게쑴input의 개수가 증가하면 useState와 이벤트 핸들러도 같이 한 뭉텅이씩 새로 생길 것이고 그로 인해 코드의 중복이 생길 것이다.리액트는 위 예시처럼 반복되는 로직이나 중복되는 코드를 커스텀 훅을 통해서 관리할 수 있다.리액트

Flux 패턴은 페이스북(현 메타)에서 MVC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발표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이다.페이스북은 기존의 MVC 모델을 사용하였음.의존성이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은 시스템의 복잡도가 높아질 수 있다.MVC 모델에서는 View가 다양한 상호작용을 위해 여
아 정리한거 날라갔다 아..
Immer.js는 Js에서 불변 상태(immutable state)를 쉽게 다룰 수 있게 해주는 작은 라이브러리이다.주로 React 애플리케이션에 서 사용되며, 상태를 직접 변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상태의 불변성을 유지해준다.간편함 : 불변 상태를 다루는 것을

리액트는 제공해주지 않지만, 개발을 진행할 때 개인적으로 'hook'으로 만들면 더 편하겠다고 느낄 때, 자신만의 hook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즉, 같은 로직이 반복될 때 두 로직을 나누어서 작성하는 게 가능할지라도, 굉장히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로직을 하나의 커

컴포넌트 내에서 변경 가능한 값이 필요하며 그 값의 변화에 따라 화면이 다시 그려져야 할 때 사용하는 훅컴포넌트의 생애 주기 또는 데이터의 생애 주기에 따라 특정 코드를 실행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는 훅화면이 실제로 업데이트 된 이후에 비동기적으로 실행이 되는 특징이 있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한다.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응다을 반환하는 방식.이러한 요청과 응답은 텍스트 기반의 메세지로 이루어져 있다.향후 인증/인가 세션에서 HTTP 프로토콜의 가장 중요한 특징에 대해 좀 더 실용적인 측면에서 상세히

json-server란, 아주 간단한 ‘DB와 API 서버를 생성해주는 패키지’ 이다. 우리가 json-server를 사용하는 이유는 Backend(이하 BE)에서 실제 DB와 API Server가 구축될 때까지 Frontend(이하 FE) 개발에 임시적으로 사용할 m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정의가 있으나.일반적으로 다음의 특징이 있을 때 프레임워크라합니다. => 제어역전소프트웨어를 만들어 나가는데에 대한 통제권과 프로세스가 돌아가는, 실행되는 절차들이 개발자 주도적으로 만들어 가는건지 정해진 틀에 개발자가 맞추어서 해야되는 것인지 판가

왜 나왔을까? 페이지 전환없이 앱같은 느낌을 원함 SPA - 한 페이지에서 내부데이터만 갈아끼우기에 데이터 유지에 좋다.(사용자 피로감 또한 적어짐) 프론트의 비중이 점점 높아짐(데이터를 많이 다룸) MVC 패턴 등의 개발 방식은 대규모 개발에 적합치 않음 -> Fl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