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차

Intro

어느새 TIL을 작성한지 8일차가 지났다. 사실 TIL을 시작해보기 전에는 그날 공부한걸 모두 정리한다는 것이 부담되고 포스팅 하나 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던터라, 부담되었는데 지금은 시작하길 너무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그날 배운 것을 하루를 마무리 할 때 써보는 것 만으로도, 내가 이 개념을 이해를 했는지 그리고 강의를 듣는 그 순간에만 이해를 했던 것은 아닌지 체크가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오늘은 이동하는 시간에 그전에 정리한 TIL을 쭉 살펴보았는데 새로배운 내용에 강사님께서 쓰지 않는 습관을 드리라고 했던 명령어가 들어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렇게 한 주간 배운 내용을 되돌아보며 잘못된 부분을 체크하고 관련해 배운 내용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볼 수 있다는 점에 있어 더 크게 와닿게 되었다

물론, 아~ 하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잘 못 된 부분에 있어 정리를 할 수 있도록 찾아보고 숙지할 수 있도록 한발 더 내딛는 것까지 해야겠지!?😅

공부 목표

  • 자바스크립트 미션3 마무리 + 코드 정리 및 git commit을 통해 정리를 하는 경우 어떤 부분에서 어떻게 나눠 정리를 했어야 했는지 생각해보기.
    • 자식 요소 삽입// css링크 동적 추가 로직 작성시 // star의 mouseover이벤트 발생// star의 mouseout이벤트 발생// star의 click이벤트 발생 //star의 click이벤트 안에 커스터마이징 이벤트 추가시// star의 click이벤트 발생에 '.selecte'제거 로직 추가시
  • git revert vs restore vs reset 정리하기 ▶수정 변경 사항 관리(rename, revert, reset)
  • github블로그 카테고리 추가 방법 확인해보기
  • 추가로 공부한 부분

새로배운 부분

  • Date생성자를 이용한 달력생성⭐
  • 이벤트 커스텀마이징

공부 필요한 부분

  • HTML의 특수코드 정리

하루를 마무리 하며

오늘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캘린더 만들기를 진행하며, new Date()함수를 이용한 다양한 로직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동안은 바닐라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프로젝트를 하며 머리를 잡고 한숨을 쉬는 일이 많았다면, 이번에는 new Date함수와 스프레드 문법 사용, splice문법 등 다양한 문법을 함께 사용해 이렇게 구현할 수도 있구나? 이런 생각을 어떻게 했지? 라는 흥미와 재미를 느끼게 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변화인 것 같다. 🤗 아자아자!!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