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모델링 특징: 추상화 (형식에 맞추어 표현), 단순화, 정확화
[3 4] 모델링 유의점(3) : 중복, 비유연성, 비일관성
[5] 모델링 진행 : 개념적 → 논리적 → 물리적
발생 시점에 따른 분류: Key entity, Main Entity, Active Entity
[10] 엔터티 특징
[13] 명명: 약어 X, 현업 용어, 유일한 이름, 생성의미대로, 단수명사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작성 절차
가) 엔터티를 그린다.
나) 엔터티를 적절하게 배치한다.
다) 엔터티 간에 관계를 설정한다.
라) 관계명을 기술한다.
마) 관계의 참여도를 기술한다.
바) 관계의 필수 여부를 기술한다.
[15] 속성: 엔터티에 대한 자세하고 구체적인 정보
[16 17]
[18] 도메인: 속성의 범위 ex) CHAR(8), NUMBER(10)
[19] 명명: 약어 X, 서술식 X, 유일성, 업무 용어
☑️ what) 엔터티(들) 간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연결 (공유 속성이 있다는 의미)
[20, 22] 관계에 대한 설명
존재적 관계(연관관계), 행위적 관계(의존관계)
ERD 구분 X, 클래스다이어그램 구분 O
관계의 표기법(3)

[23 24] 관계 도출 사항(4)
[26] 식별자 종류(4)
| 여부 | 有 | 無 |
|---|---|---|
| 대표성 | 주식별자 | 보조식별자 |
| 스스로 생성 | 내부식별자 | 외부식별자 (타 엔터티에서 받음) |
| 속성의 수대체성 | 단일식별자 | 복합식별자 |
| 대체성 | 인조식별자 | 본질식별자 (대체 불가능) |
[25 27 28] 식별자 특징(4) : 유일성, 최소성, 불변성, 존재성
[29 30] 식별자, 비식별자 관계
| 식별자 관계 | 비식별자 관계 | |
|---|---|---|
| 목적 (표기) | 강한 연결관계 (실선) | 약한 연결관계 (점선) |
| 자식 주식별자 영향 | 자식 주식별자 구성에 포함됨 | 자식 일반 속성에 |
| 고려사항 | 부모엔터티 종속, | |
| 타 엔터티에 이전 | 독립적 자식 주식별자 구성, | |
| 타 엔터티에 차단 | ||
| ▶️ use | 부모 소멸 시 자식도 소멸 | 부모가 자식만 남기고 소멸 |
정규화 데이터베이스(Normalized Database)는 중복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비정규화 데이터베이스(Denormalized Database)는 읽는 시간을 최적화하도록 중복이 허용된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 ☑️ what) | ▶️ when) | |
|---|---|---|
| 제 1정규화 (1NF, 1 Normal From) | 각 속성이 원자성을 만족하도록 정규화 | 1개의 속성에서 여러 값을 가지는 경우 |
| 제 2정규화 (2NF) | PK 에서 부분 함수 종속성 제거 | - 기본키가 여러 개인 경우 |
| 제 3정규화 (3NF) | 일반 속성에서 이행 함수 종속성 제거 | 의존성이 있는 열들에 대하여 수행 |
| 제 4정규화 (4NF) | PK 에서 다치 종속성 제거 | PK에서 다치 종속이 있는 경우 |
반정규화
☑️ what) 정규화와 반대되는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