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격 명령어
: 브랜치 이름 colon refspce 으로 source:destination
- fetch
- git push
git bash
#2 이외의 명령어
- unix
- cd :Change Directory
- mkdir : Make Directory
- touch : Make a file
- vi
> -i를 누르면 편집 모드
> - :wq로 write & quit
> - ESC키를 누르면 명령어 입력 모드
- git config : 설정 configure repository
- git add : 스테이징 영역 추가 add fill to staging area
- git restore : 변경사항 폐기 Delete a version or Unstage files
- git log : 그래프를 보여줌 Show history
- git status : 레포지토리 상태를 확인 Show current status of current repository
- git init : 레포지토리 생성 Initialize repository
#3 Git의 동작
- HEAD : 어떤 브랜치를 가리키는지의 대한 내용이 담겨있음 커밋이나 브랜치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음
- ref/heads 에 브랜치에 대한 파일이 있다.
> - 해당 파일의 이름은 브랜치의 이름
> - 그 파일에는 커밋 ID가 있었다. (해시값)
ref/tags 에 태그에 대한 파일 있다.
> - 해당 파일의 이름은 태그의 이름
> - 그 파일에는 해시값이 있다.
- objects에는 변경 사항이 저장되어 있음. => 각 커밋의 내용
#4 vi 사용법
- 명령어 모드랑 편집 모드
> - 편집하고 싶을 땐 i키를 누름
> - ESC키를 누르면 명령어 모드
- 파일을 저장하고 나가려면 :wq
git add temp.txt
git commit -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