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변수 표기법 맨 앞 글자를 소문자로 하고 두 번째로 오는 의미있는 단어의 앞 글자는 대문자 카멜표기법 사용.(camelCase) > 상수란? 변하지 않고 고정된 값을 담는 변수를 의미. 변하지 않는 값을 사용하고 싶을 때
자바는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 반드시 데이터타입이 지정되어야함.종류는 크게 4가지로 논리형,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이 있다.
부호 연산자 + -산술 연산자 + - \* / %증감 연산자 ++ --
조건문 if문, switch문
while문, do-while문, for문
배열은 같은 데이터 타입을 가진 연속된 메모리 공간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이다
자바는 객체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클래스를 먼저 만들어야 한다. 클래스는 객체를 만들기 위한 일종의 틀이다.
자동차는 자동차 이름, 자동차 번호를 가지고 있고, 자동차는 달리고 멈추는 기능이 있다. 여기에서 가지고 있는 것을 속성이라고 한다. 자바에서는 이러한 속성을 필드(Field)라는 용어로 사용한다.
length, concat, substring
프로그램상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은 사용 가능한 범위를 가진다. 그 범위를 변수의 스코프라고 한다.변수가 선언된 블럭이 그 변수의 사용범위이다.
자바는 열거타입을 이용하여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다.특정 값만 가져야 한다면 열거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모든 클래스는 인스턴스화 될때 생성자를 사용한다
this는 객체 자신을 참조하는 키워드로, 현재 객체 자기 자신을 나타낸다.
매개변수의 유형과 개수가 다르게 하여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여러 개 가질 수 있게하는 기술
패키지(package)란 서로 관련이 있는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들을 묶어 놓은 묶음이다.
상속이란 부모가 가진것을 자식에게 물려주는것을 의미한다.
접근 제한자란 클래스 내에서 멤버의 접근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추상 클래스란 구체적이지 않은 클래스를 의미한다.
class가 인스턴스화 될때 생성자가 실행되면서 객체의 초기화를 한다. 그 때 자신의 생성자만 실행이 되는것이 아니고, 부모의 생성자부터 실행된다.
오버라이딩이란 부모가 가지고 있는 메소드와 똑같은 모양의 메소드를 자식이 가지고 있는 것이다. 즉 오버라이딩이란 메소드를 재정의 하는 것이다.
부모타입으로 자식객체를 참조하게 되면 부모가 가지고 있는 메소드만 사용할 수 있다. 자식객체가 가지고 있는 메소드나 속성을 사용하고 싶다면 형변환 해야 한다.
인터페이스란 서로 관계가 없는 물체들이 상호 작용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나 시스템이다.구현은 하지 않고 필요한 기능들만 선언해서 가지고 있는 것이다.
내부 클래스란 클래스 안에 선언된 클래스어느 위치에 선언하느냐에 따라서 4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다.
프로그램 실행 중 예기치 못한 사건을 예외라고 한다. 예외 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처리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는 것을 예외 처리라고 한다.
public class 클래스명 extends Exception { }클래스의 이름만으로 어떤 오류를 발생시켰는지 알려주어 코드 직관성 높임.
Call by Value와 Call by reference에 대해 정리했으며 문자열 비교에 적합한 메소드 정리.
Wrapper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종종 사용되는 용어로, 다른 객체를 감싸거나 래핑함으로써 새로운 동작이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