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 How Does the Internet Work?

KimJelly·2023년 1월 14일
0

FrontEnd

목록 보기
1/1

공부해야하는 것들이 꽤 많은데 대충 훑고 까먹기 싫어서 시작한 프론트엔드 로드맵 따라가기! 꼼꼼한 Front-End 개발자가 되는 길은 험난하구나..

🧑🏻‍💻 어쩌다가 이런 포스팅을..?

프론트엔드 로드맵을 발견해서 이리저리 클릭해보던 중 이 내용들을 모두(희망사항) 습득하면 간지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참고한 로드맵은 아래 링크를 확인하면 된다. 오늘은 첫번째 질문, 인터넷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정리를 해보려한다!

참고 로드맵 : https://roadmap.sh/frontend/

🤷🏻 인터넷이 뭘까?

인터넷(Internet)이란, 여러 통신망을 연결한다는 뜻의 'inter-network'라는 말에서 시작되었으며, 전 세계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하나의 큰 통신망을 의미한다.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TCP/IP라는 기본 프로토콜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 TCP/IP ????

  • IP :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는 고유한 IP주소를 부여받는다.
  • TCP : 전송 조절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해준다. '한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 네트워크


2대의 컴퓨터가 통신을 한다고 치면, 물리적인 케이블이나 무선 연결(와이파이, 블루투스등)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단순하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해당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할 시, 10대의 컴퓨터가 형성한 네트워크는 아래 사진과 같다.

10대의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 컴퓨터 당 9개의 플러그가 달린 45개의 케이블이 필요해지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각 컴퓨터는 라우터라고하는 '특수한 소형 컴퓨터'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메세지를 보낸다고 가정하면, 보내는 컴퓨터에서 직접적으로 받는 컴퓨터로 통신을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보내는 컴퓨터는 메세지를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라우터로 전달, 라우터는 받는 컴퓨터로 메세지를 전달한다. 이제 10대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9개의 플러그가 달린 45개의 케이블이 아닌 단 10개의 케이블만 필요하다!

라우터도 '특수한 소형 컴퓨터'. 즉, 두 대의 라우터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를 라우터에 연결하고, 라우터와 라우터가 연결되고..그렇게 무한히 확장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개쩐다)

하지만, 이렇게 네트워크를 구축하기엔 부족한 것이 있다. 아주아주 먼 곳과의 연결은 어렵다는 것이다. 아주아주 먼 곳과 연결이 잘 되어있는 사례가 무엇일까? 바로 전화시설이다. 전화 시설은 이미 세계 어느 곳과도 연결되어 있기에, 이 시점에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상당히 완벽한 배선인 것 같다. 따라서 모뎀이라는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정보를 전화 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정보로 바꾼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

짠! 이렇게 전화 시설에 연결된 우리의 컴퓨터와 라우터..! 자 이제 보내는 네트워크에서 아주아주 먼 네트워크로 메세지를 보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바로 네트워크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Internet Sevice Provider, ISP)에 연결하면 해결된다!

🤯 ISP????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로, 우리나라에 대표적으로 KT, SK telecom, U+가 있다. 이 회사들이 인터넷 케이블들을 설치해놓고, 우리에게 제공해주는 것이다!

짜잔! 이렇게 ISP는 다른 ISP의 라우터에도 엑세스가 가능하여 인터넷은 이러한 전체 네트워크 인프라로 구성된다.

출처 :

profile
심심한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