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log 사용법

KimJelly·2022년 12월 27일
1

velog

목록 보기
1/1

벨로그를 처음 사용해보는 나를 위한 가이드 작성 (두근두근)

찾아보니 벨로그도 github의 readme 작성과 비슷하게 마크다운을 사용하길래, 첫 게시글은 벨로그 사용법을 쭉 정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 Header

h1부터 h6까지 제목 작성이 가능하다.

✏️ 입력

#-> h1
##-> h2
###-> h3
####-> h4
#####-> h5
######-> h6

📃 출력

h1

h2

h3

h4

h5
h6



🪄 BLOCK

👉🏻 글씨 음영처리

백틱을 사용하면 글씨 음영처리가 가능하다.

✏️ 입력

📃 출력

백틱 사용하여 글씨 음영 넣기.

👉🏻 인용 넣기

'>'를 사용하면 인용 가능

✏️ 입력

> 1단
>> 2단
>>> 3단
>>>> 4단

📃 출력

1단

2단

3단

4단

👉🏻 코드 블럭

백틱을 3개 찍어 코드 블럭 사용 가능하다.
한 줄짜리 코드 블럭은 탭을 두번 치면 쉽게 만들어진다.
맨 위 백틱에는 사용 문법을 꼭 같이 찍어주자!

✏️ 입력

📃 출력

function test(){
return console.log('hello world')
}

👉🏻 수평선

*이나 -, _으로 수평선을 만들 수 있다.

✏️ 입력

📃 출력




👉🏻 글자 색상

html 태그로 사용하면 글자 색상도 바꿀 수 있다.

✏️ 입력

📃 출력

red
yellow

profile
심심한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