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서버생성순서
- 서버이미지 생성 - 확인 - 네트워크 설정(암호) - 서버 설정(인스턴스 정보 설정)
2. OSI 7 Layer에서 각 계층 프로토콜
- 응용계층: HTTP, FTP, SMTP, DNS, POP3, SNMP, SSH
- 표현계층: JPEG, MPEG, SSL/TLS
- 세션계층: NetBIOS,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RPC(Remote Procedure Call)
- 전송계층: TCP, UDP, SCTP
- 네트워크계층: IP, ICMP, IGMP, ARP, RARP
- 데이터링크계층: HDLC, PPP(Point-to-Point Protocol)
- 물리계층: RS-232C
3. VPC(Virtual Private Cloud)란
- 논리적으로 격리된 네트워크로 다른 사용자의 네트워크와 간섭 없이 클라우드 상에서 안전하고 투명한 IT인프라 환경을 구현 할 수 있게 한다.
4. Subnet이란?
- IP 주소 범위를 작은 서브 네트워크로 분할 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 관리를 더욱 쉽게 하고 보안 그룹을 설정하여 보안을 강화 할 수 있다.
5. IP 서브넷은 무엇을 사용하여 식별하는가
-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식별한다.

6. Bastion Host 서버란?
- Bastion Host란,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접근점이다. 보안성이 높은 인프라와 외부 인터넷을 연결하는 중계 서버로 작동하며, 모든 인바운드 트래픽은 Bastion Host를 통과해야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갈 수 있다.
- Bastion Host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 간의 보안 경계 역할
- 인바운드 트래픽의 제어와 모니터링
- SSH 또는 RDP와 같은 안전한 원격 접속을 제공한다.
7. Inbound 규칙 설정이란 무엇이고 설정해야 할 내용은?
- Inbound 규칙 설정이란, 외부에서 서버로 들어오는 트래픽에 대해 허용할지 차단할지를 결정하는 설정입니다.
- 설정해야 할 내용은 프로토콜 선택, 포트 범위 지정, 소스 IP 지정, 허용/거부 규칙 설정, 보안 그룹 적용 대상, 로그 및 모니터링 설정 이 있다.
8. Outbound 규칙 설정이란 무엇이고 설정 할 내용은 무엇인가?
- Outbound 규칙 설정이란, 네이버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나 네트워크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 설정해야 할 내용은 프로토콜 선택, 포트 범위 지정, 목적지 IP 또는 대역 설정, 허용.거부 규칙 설정, 특정 서비스와의 통신 규칙 설정, 보안 그룹 또는 네트워크 적용 대상 설정, 로그 및 모니터링 설정 이 있다.
9. Private 서브넷에 위치한 웹서버가 인터넷과 연결에 필요한 설정은?
10. Route Table의 역할은 무엇인가?
- public 서브넷과 private 서브넷 간 트래픽을 전달하는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