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표준 & 웹 접근성

1abme·2023년 4월 26일
0

인터넷


많이들 웹이라고 하면 인터넷을 떠올린다. 하지만 인터넷은 웹 기반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다. 인터넷이 웹보다 좀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을 의미하며 웹, 온라인게임, 모바일 앱, 이메일 등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모두 포함하므로 웹과 인터넷을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웹이란 '공간' 이라는 단어로 정의할 수 있다. 문서,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다.

대표적인 예로 웹툰의 어원 역시 'Worlds Wide Web + Cartoon' 을 합친 것으로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웹이라는 공간에서 만화를 보고 댓글을 다는등의 행위가 가능하다.

웹 표준


웹 표준이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권고하는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웹페이지가 동일하게 보이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웹 페이지 제작 기법을 담고있다. 웹 개발에 사용되는 언어인 HTML, CSS, JavaScript 등의 기술을 다룬다.

크롬, 엣지, 사파리, 오페라, 파이어폭스 등 최신 웹 브라우저들은 모두 웹 표준을 지원하여 웹 쵸준에 맞춰 웹 페이지를 작성하면 어떤 브라우저든 동일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웹표준을 준수한 웹페이지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다.

웹 표준 등장배경


2000년대에는 웹이라는 공간에서 여러 사람들이 동일한 행위를 하거나 볼 수 있는 일이 쉽지 않았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는 작동 되지만 사파리나 파이어폭스 같은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작동이 되지 않는 등 브라우저간 호환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고 이러한 상황을 막고 웹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개발자들이 각 브라우저마다 따로 개발을 해주어야만 했는데 이런 수고를 없애고 웹 개발의 형식을 통일시킨 것이 바로 웹 표준이다.

웹 표준의 장점


유지 보수의 용이성

웹 표준으로 HTML, CSS, JavaScript 등의 사용법을 정리하기 이전에는 구조, 표현, 동작이 뒤섞인 코드도 많았고 이 코드의 어느 한 부분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전부를 고쳐야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각 영역이 분리되며 유지보수가 용이해졌고 코드가 경량화되면서 트래픽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생겼다.

웹 호환성 확보

웹 사이트가 특정 운영체제나 브라우저에 종속적이라면 그 외 환경에서는 정상적으로 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하지만 웹 표준을 준수하여 제작할 시 웹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 운영 체제나 사용기기 에 상관 없이 항상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할 수 있다.

검색 효율성 증대

웹 표준에 맞춰 웹 사이트를 작성하는 것만으로도 검색 엔진에서 더 높은 우선 순위로 노출될 수 있다. 적절한 HTML 요소의 사용, 웹 페이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 작성 등 검색 효율성과 관련된 내용도 웹 표준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웹 접근성 향상

브라우저의 종류, 운영체제의 종류, 기기의 종류 등 웹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은 매우 다양하며 웹을 사용하는 사람들 또한 다양하다. 이 모든 환경과 사용자에 맞춰 웹 페이지를 개발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웹 표준에 맞춰 개발함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웹 접근성


일반적으로 웹 접근성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등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뜻하지만 비장애인도 정보 접근에 제한을 받는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웹 접근성의 궁극적인 목적은 어떤 상황이든, 어떤 사람이든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웹 접근성 실태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수준은 높지 않다. 2021년 기준, 일반 국민의 정보화 수준을 100이라고 할 때, 장애인,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의 정보화 지수는 75.4점, 국내 웹 사이트들의 웹 접근성 평균 점수는 60.8점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국내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를 보아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상품의 상세 정보가 이미지로 올라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미지 속 글자를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해 스크린 리더가 읽을 수 있게 만드는 기능을 제공하는 사이트도 있지만 변환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되기에 정보 접근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웹 접근성을 갖추면 얻을 수 있는 효과


사용자층 확대

웹 접근성 확보시 장애인, 고령자 등 정보 소외 계층도 웹 사이트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 사이트의 이용자를 늘릴 수 있고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웹 접근성 향상을 통해 매출이 증가한 해외 쇼핑몰 사례도 있으며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노년층의 매출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기에 고려해야할 점이다.

다양한 환경 지원

소외 계층이 아니어도 운전중이라 화면을 보기 어렵거나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 등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은 충분히 있을 수 있다. 때문에 웹 접근성 향상시 다양한 환경, 다양한 기기에서의 웹 사이트 사용이 자유롭게되어 서비스의 사용 범위가 확대되면 서비스의 이용자 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사회적 이미지 향상

웹 접근성 확보를 통해 기업이 정보 소외 계층을 위한 사회 공헌 및 복지 향상에 힘쓰고 있을을 보여준다면 기업의 사회적 이미지가 향상, 그만큼 이용자 수 증가와 충성 고객 확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나요...?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