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는 인터넷에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전송 계층에 해당한다.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패킷의 다중화, 순서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Source/Destination Port Number, Sequence Number, Checksum 등이 포함된다.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한다.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Best Effort 원칙에 따른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비신뢰성 전송) 패킷의 분해/조립, 주소 지정, 경로 선택 기능을 제공한다.Version, Header Length, Total Packet Length, Header Checksum, Source IP Address, Destination IP Adress 등이 포함된다.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Session, presentation, Application전송 계층 (Transport)네트워크 계층 (Network)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Physical, Data Link)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분을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한다.

IPv6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추소 체계로 나누어진다.
유니캐스트 (Unicast) : 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 (1 대 1 통신에 사용)
멀티캐스트 (Multicast) : 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간의 통신 (1 대 다 통신에 사용)
애니캐스트 (Anycast) : 단일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 (1 대 1 통신에 사용)


<후기>
전반적으로 OSI 7계층과 대응되는 내용들이 있다보니 복습하는 느낌이 들었다. 정보처리기사를 준비할 때는 각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기억할 수 있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