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밋에 올리고 작업중이던 코드의 오류하나를 해결했는데
괜찮았던 다른 코드에서 오류가 생겼어요..
.................심하게.. 😭
그래서 그 부분은 예전에 올렸던 파일을 다시 가져오고 싶은데 ~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
바로 이전 커밋이 아니더라도 ❗
그 파일만 가져올 수 있을거 같은데 ~ 분명
하고 찾아봤습니다
.
.
.
그래서 두 가지를 발견했습니다~!~!~!
cheery-pick
checkout
둘 중에 어떤 걸 사용해야할까요❓
다른 브랜치에서 어떤 특정 커밋만 콕! 집어서 내 브랜치로 가져오는 명령어
(1) 공통으로 merge했던 커밋을 가져와 수정할 때
(2) 팀원이 작업한 특정 커밋을
-> 내 브랜치로 끌어와 확인/추가 하고 싶을 때
(3) 버그 픽스 커밋을 다른 브랜치에서도 적용해야 할 때
❗즉! 다른 브랜치의 여러 커밋들 중 필요한 커밋만 선택적으로 가져와서 적용할 때 ❗
<1>
git cherry-pick <커밋ID>
( 원하는 커밋이 있는 위치로 이동 후 명령어 실행 )
<2>
.
.
.
⭐⭐⭐여기서 중요한 거!
cheery-pick
은 다른 브랜치 에서 내 브랜치로 가져올 때 유용하다는 점입니다 ~.~.....
그래서 제가 하고 싶었던 것처럼
내 브랜치에 있는 걸 다시 가져오는 데는
cherry-pick이 아닌❌❌ 다른 방법을 써야한다는거죠~😮
그 다른 방법이 checkout
입니다~
: git checkout
은 특정 커밋 상태로 되돌리거나, 브랜치를 전환할 때 쓰는 명령어
(1) 특정 커밋에 있던 파일만 현재 브랜치로 가져올 때
(2) 파일 상태를 특정 커밋 상태로 복구하고 싶을 때 ⭐
(1) 브랜치 이동
: 작업하려는 다른 브랜치로 이동할 때
git checkout <브랜치이름>
(2) 파일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기
: 주로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에서
특정 커밋의 파일을 덮어씌우는 경우에 사용 ❗
git checkout <커밋ID> -- <파일경로>
-> ✨커밋 내역을 유지한 채 파일만 덮어쓸 수 있습니다.✨
파일을 복원하고 싶을 때
: checkout
특정 커밋을 다른 브랜치에 적용
: cherry-pick
커밋 보존하고, 선택적으로 변경사항을 적용
: cherry-pick
저의경우
내 브랜치에 있던 파일을 복원하고 싶었던 것이니
checkout
을 사용하면 되겠군요 ~
.
.
.
(해결👍)
.
.
흑............다행이다
이제 다시 열심히 개발해보겠습니다😉
안녕 ✨
크 제가 생각한 대로 아주 잘 공부하고 잘 정리했네요 넘넘 고생했어용 가독성부분에선 진짜 원탑인듯합니다 배워갈게요^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