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0828번.스택 | 실버4 | Python

싱숭생숭어·2024년 4월 5일
0

백준

목록 보기
21/32

문제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0.5 초 (추가 시간 없음)256 MB256472932226770937.496%

문제 설명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4
push 1
push 2
top
size
empty
pop
pop
pop
size
empty
pop
push 3
empty
top

예제 출력 1

2
2
0
2
1
-1
0
1
-1
0
3

예제 입력 2

7
pop
top
push 123
top
pop
top
pop

예제 출력 2

-1
-1
123
123
-1
-1

내 풀이

파이썬에서 기본 리스트는 stack 자료구조 형태로 되어있다.

리스트의 기본 append, pop을 활용해 문제를 풀어보자 -> O(1)

# 10828번 실버4
# 스택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command = []
for _ in range(n):
    command.append(input())

# 명령 실행(push, pop, size, empty, top)
num = [] # 스택을 구현할 빈 리스트 생성
for i in command:
    if 'push' in i:
        num.append(int(i[5:]))
    elif 'pop' in i:
        if num:
            print(num.pop())
        else:
            print(-1)
    elif 'size' in i:
        print(len(num))
    elif 'empty' in i:
        if num:
            print(0) 
        else:
            print(1)
    else:
        if num:
            print(num[-1])
        else:
            print(-1)

푸는 건 어렵지 않지만
케이스가 너무 많아 구현이 귀찮은 문제였다.

profile
공부합시당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