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쉬웠다
과거에는 USB 포맷팅이 Fat32 로 한정적으로 되어있었기 때문에
윈도우 부팅시스템에 존재하는 install.wim파일을
한번에 usb안에 담을 수 없었는데
요즘은? USB에다가 exFAT으로 포맷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냥 복사붙여넣기만 하면 끗이다 ^^
어려운 사람이 있을 거 같아 남겨놓는다
라고 생각했으나 천만의 말씀 콩떡의 말씀 전혀 아니었네 ^^
macOS에서 Windows 설치 USB를 만들 때
Windows 부팅을 지원하는 포맷은 FAT32뿐이다..
나는 그것도 모르고 멍청하게 exFAT로 만들어서
헤헤헤 거리고 있었으니 이 얼마나 어리석은가
아래 내용을 확인하자..
Windows 부팅 로더(bootloader)가 exFAT을 지원하지 않음
• Windows 설치 과정에서 부팅 가능한 드라이브는 FAT32 또는 NTFS만 가능
• 하지만 macOS에서는 NTFS에 쓰기 불가능 그래서 NTFS도 못 씀
UEFI 부팅에서는 FAT32가 기본 포맷임
• BIOS/UEFI 펌웨어는 기본적으로 FAT32를 요구함
• exFAT은 부팅 디스크로 사용할 수 없음
더욱 더 불편한 사실은 FAT32는 단일 파일 크기 제한(4GB)이 있어서
4GB 이상은 들어가지 않아 문제가 생긴다..
Windows 10/11 ISO의 install.wim 파일(이 놈이 문제) 요게 4GB를
초과하는 파일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
포맷팅에 대해 좀 자세하게 알고 넘어가자
역시 알면 더 도움이 된다..
그래서 부랴부랴 검색하고 이것저것 찾아본 결과
한 위인분께서 우리에게 방법을 알려주셨다
출처: BIGMAN:IT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제 시간을 아껴주셨어요..
2025년도 축복받으세용 👍🏻👍🏻👍🏻
유튜브를 보고 따라만 하면 부팅디스크가 생긴다!!!
하지만 바쁜 미래의 내가 또
맥북에서 부팅디스크를 만들일이 생길까봐
간단하게 요약하여 정리해놓는다
준비물 : 아무 USB (최소 5GB 이상)
순서는 아래와 같다
USB 포맷 진행 (FAT32로 진행하기 위해 현재 2025.02.26 기준 MS-DOS(FAT32)로 포맷팅)
⚠️ 디스크 유틸리티 들어가보면 포맷하기 나옴
⚠️ MS-DOS로 설정하고 포맷을 진행할 것
다운로드 완료 시 brew
로 Wimlib
설치
brew install wimlib
다운받은 ISO마운트하여 안에 내용물 확인하기
정상적으로 다운로드가 되었는지 확인!!!!
포맷 진행한 USB에 install.wim을 제외한 파일 복사
rsync -av [원본 파일 위치 = ISO내용물 경로] [사본 저장 위치 = USB] --exclude install.wim
4GB 이상 install.wim 파일 분할하여 USB에 삽입
wimlib-imagex split [wim 경로와 파일 이름] [swm 파일 저장 위치와 파일 이름] [분할 용량 MB]
완벽하게 구동이 끝나고 나면 설치디스크 설정 완료이다
어제 부랴부랴 노트북을 받고 부팅디스크로 윈도우를 설치했는데
문제없이 잘 부팅되었고 FreeDOS환경에서 문제가 하나도 없었다!
이렇게 또 하나 배워간다..
USB 포맷팅은 생소했는데 나중에 견문이나 넓힐 겸 한번
탐구해보도록 하겠다 끗구해보도록 하겠다 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