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문제를 풀면서 긴가민가 했던걸 공부하며 다시 새롭게 알아버린 함수가 있다.
sort 메서드인데 개념정리를 하자면 이렇다. feat.gpt
아래와 같이 예시를 들어
number에 다양한 숫자가 있고 sorted 함수를 통해 정리하면 원본을 유지하며 정렬하여 반환한다.
sorted(): Python의 내장 함수로, 어떤 이터러블도 받아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
원본 데이터는 변경 X
numbers = [3, 1, 4, 1, 5, 9, 2]
sorted_numbers = sorted(numbers)
print(sorted_numbers) # 출력: [1, 1, 2, 3, 4, 5, 9]
print(numbers) # 출력: [3, 1, 4, 1, 5, 9, 2] (원본은 변경되지 않음)
import math
# 원의 넓이 계산
radius = 5
area = math.pi * math.pow(radius, 2)
print(area) # 원의 넓이 출력
# 로그 계산
log_value = math.log(10, 10)
print(log_value) # 밑이 10인 로그 10의 값 출력
# 제곱근 계산
sqrt_value = math.sqrt(16)
print(sqrt_value) # 16의 제곱근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