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개발 면접 스터디에 들어가게 되서 하루당 질문 두개를 받게 되었다!!그래서 하루마다... 노션이랑 벨로그에 함께 기입해두고자 한다:)html과 css 파일을 파싱해서 dom트리를 만든 후 그 트리를 결합하여 렌더링 트리가 만들어지게 되어 view에서 보여진다.
호이스팅은 함수 안에 있는 선언들을 끌어올려 유효 스코프의 최상단에서 선언하는 것을 말하며 var를 사용할 시에 호이스팅이 발생한다. let,const, 함수 표현식에서는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으며,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위해서 조심하는 것이 좋다.tdz는 선언 전에 변
프레임워크는 뼈대, 기반구조를 뜻하며 전체적인 흐름을 쥐고 사용자가 그 안에서 필요한 코드를 짜 넣는데 반해 라이브러리는 단순 활용 가능한 도구들의 집합으로 호출해서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가져다 쓴다고 볼 수 있다.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두면 계산, 접근 시간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다.http 메세지는 이렇게 요청 메소드 를 맨앞에 적고 그 다음은 주소(path), 그 뒤에는 프로토콜의 종류와 버전을 적는다.그 다음은 리소스를 요청하고자 하는 서버의 도메인을 적는다.메소드
용법은 일반 함수 실행, 매서드로 실행, this binding 일반함수 - 전역매서드 - 생성된 객체 생성자 함수 -일반함수와 화살표 함수 실행 순서가 다름함수 표현식은 함수가 변수에 할당 된 후에 호출되나 화살표 함수는 정의되는 즉시 실행된다.local storag
require()은 commonjs를 사용하는 node.js문이며 import()는 es6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또한 require()은 어디에서나 호출이 가능하지만 import()는 파일의 시작 부분에서만 실행할 수 있다.따라서 바벨과 같이 es6코드를 변환해주는 도구
useRef는 가끔씩 dom을 직접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올 때 즉 특정 엘리먼트의 크기를 가져와야하거나 스크롤바 위치를 설정한다던가 비디오나 그래프 관련 라이브러리 등의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도 특정 dom에 이를 적용해야 할 때 useRef가 사용된다.\
순수함수란 입력값에 대해서 언제나 동일한 출력값을 반환하는 함수다.불변성을 유지하며 입력값을 가공해 결과를 반환하며 입력값이 같다면 항상 같은 결과를 보장하며 함수 외부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다.즉 사이드 이펙트가 없는 함수다.prop
시맨틱 html은 header,main,footer등의 태그를 줌으로써 요소의 이름만으로도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의미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seo에 유리하며 웹접근성으로도 좋습니다.Untitled
ul은 비정렬적 목록을 나타내는 태그로 li는 항목 태그이기 때문에 문법적 요소를 위해서 자식 요소여야한다.inline요소는 한 줄에 다른 엘리먼트들과 나란히 배치가 되며 span, a태그가 이에 해당된다.또한 width. height가 없기 때문에 안에 있는 텍스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