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X란 HTML + JavaScript 의 형태.<App /> 이런형태. 대문자로 시작한다. pug의 partical쓰는거랑 비슷함.대문자로 시작하는 js파일을 만든다. ex) Tomato.jsTomato.js파일내에 function Tomato(){...}
npm i -g create-react-app 으로 설치하면 귀찮게 쓸 때마다 설치할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전역에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서 용량문제와 업데이트 시 전역으로 업뎃해야하는 상황이 될 수 있음.npx create-react-app으로 설치하면 프로젝트 만
map 두번째 인자로 index를 실행시켜서 array 순서번호를 주면 끗!npm i react-router-dom 설치 후 import 하기react-router-dom = web에서 사용할 때react-router-native = app에서 사용할 때react-ro
함수 컴포넌트로 state와 react 추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먼저 useState를 import 해준다.useState는 현재의 state값과 이 값을 업데이트하는 함수를 쌍으로 제공한다.=> count = 현재의 state값, setCount = 값을 업데이
슬랙에 파일 확장자명에 관한 질문이 있길래 궁금해서 찾아봤다. 예전에는 확장자명을 .jsx로 사용해야 했지만 요즘은 권장사항이 사라져서 .js로 쓰고있는 추세.🚧 하지만 Javascript라면 .js, TypeScript라면 .ts는 꼭 지켜주기!key의 값으론 리스
Custom Hooks 만들기 input tab
useEffect() >useEffect는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 componentWillUnmount()의 역할을 한다. useEffect( function , []) 첫번째 인자 = componentDidMou
npx create-react-app ${폴더명} --typescriptstyled-component의 타입은 inline / Component의 타입은 interface로 지정하는것을 추천props.theme. 설정해둔 props는 자동완성 기능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