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의 공격은 가상의 공격이긴 하지만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공격이 가져올 수 있는 결과 때문에 블록체인 참여자들이나 채굴자들은 이를 두려워하고 또 자주 언급합니다.
51%의 공격인 것과 51%의 공격이 아닌 것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51%의 공격은 개별적이거나 선택된 블록을 조작하기 위한 공격은 아닙니다.
분산 P2P 네트워크의 훌륭한 점을 예로 공격자가 블록을 임의로 조작할 경우 그는 한 사람의 컴퓨터를 해킹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다음 해시가 연쇄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모든 블록의 해시를 다시 조정해 줘야 합니다.
즉, 적어도 반이 넘는 컴퓨터를 해킹해야하는 것 입니다.
진정한 51%의 공격이란 51%의 해시율을 뜻합니다.
이런 공격이 가능하려면 단순히 채굴자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일부인 노드의 컴퓨터 또한 해킹해야 하니 불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는 51%공격에 해당하지 않으며 해시율이 50%가 넘더라도 비현실적이며 불가능한 사례입니다.
그렇다면 51% 공격이란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채굴자들과 채굴자들의 전체 네트워크가 있다고 가정해봅니다. 이들은 단지 블록을 채굴하고 있는데 51% 이상의 해시율을 가지는 악의적인 채굴자 그룹이 네트워크에 합류합니다.
악의적인 채굴자들은 바로 네트워크로 들어가 체인을 복사합니다. 체인의 사본과 멤풀을 얻은 후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끊어버리고 네트워크로 아무것도 브로드캐스팅도하지 않고, 네트워크의 브로드 캐스팅도 신경쓰지 않고 자기들만의 작업에 몰두합니다.
이 경우 해시율이 높아 시간이 지날수록 공격자들이 더 많은 블록을 채굴하게 되고 그 격차가 점점 커지게 될 것입니다. 이 체인들은 악의적인 채굴자들이 원하는 트랜잭션이 들어있으며 추후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브로드캐스팅을 시작하면 황금률에 따라 가장 긴 체인이 살아남게 되어 트랜잭션들이 유효성을 가지게 됩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을 조종하고, 부당한 이득을 얻을 것입니다. 또한 모든 트랜잭션은 키를 통해 익명으로 진행되어 거래자를 찾거나 추적하지 못합니다.
블록체인에 있어서는 보통 사용자들 간 합의된 기간이 존재합니다. 불법적인 행위는 하나도 없으며 좀 더 인원이 많고 채굴 과정에 있어서 얼마간 스스로의 존재를 숨기며 접근한 것 뿐입니다.
비트코인은 이미 체인 내에서 어마어마한 해시율을 자랑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기 어렵지만 규모가 작은 기타 암호화폐에서는 금전적 이득이 크지 않더라도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