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nternet Protocol
이 4계층 모델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집합으로 계층들은 프로토콜의 네트워킹 범위에 따라 네 개의 추상화 계층으로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HTTP/SSH/DNS 등), 전송 계층(TCP/UDP 등), 인터넷 계층(IP 등), 링크 계층(이더넷)
흔히 OSI 7계층과 많이 비교하는데, OSI에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세 개로 쪼개고 링크 계층도 두 개로 나눠서 구분하는 차이가 있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 주소
컴퓨터에서 해당 프로세스를 찾을 때 필요한 번호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에서 메시지가 컴퓨터에 도달했을 때, 컴퓨터에서 전달되어야 할 특정 프로세스를 지정하려는 목적
컴퓨터 IP 주소가 192.168.10.20이면 FTP로 파일을 받을 때나 채팅을 사용하는 IP 주소도 모두 192.168.10.20로 같다. 그래서 혼동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를 구분하기 위해 포트 번호가 생겼다. FTP 서버는 포트 9000번, 채팅 서버는 9001번으로 프로세스를 구분한다.
프로세스의 주소
HTTP에는 주로 80번 포트가 사용된다.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
웹 서비스,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층
FTP : 장치와 장치 간의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
SSH : 보안되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토콜
HTTP : World Wide Web을 위한 데이터 통신의 기초이자,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데 쓰는 프로토콜
SMTP : 전자 메일 전송을 위한 인터넷 표준 통신 프로토콜
DNS :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해주는 서버로, 이를 통해 IP 주소가 바뀌어도 사용자들에게 똑같은 도메인 주소로 서비스할 수 있다.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를 제공
애플리케이션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될 때의 중계 역할
TCP : 패킷 사이의 순서를 보장하고 연결지향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연결을 하여 신뢰성을 구축해서 수신 여부를 확인하며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
가상회성 패킷 교환 방식 : 각 패킷에는 식별자가 포함되며 모든 패킷을 전송하면 가상회선이 해제되고 패킷들은 전송된 순서대로 도착하는 방식
UDP : 순서를 보장하지 않고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으며 단순히 데이터만 주는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 패킷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며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가는데, 하나의 메세지에서 분할된 여러 패킷은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될 수 있으며 도착한 순서가 다를 수 있는 방식
장치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패킷을 IP 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층.
패킷을 수신해야 할 상대의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달
하지만, 상대방이 제대로 받았는지에 대해 보장하지 않는 비연결형적인 특징이 있다.
전선, 광섬유, 무선 등으로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
장치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