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터미널에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위치하는 디렉토리에 hello_sui라는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Move.toml MOVE 패키지 설정을 정의하는 파일 > [package] → 패키지 이름 및 버전 정보 포함. [dependencies] → 다른 Move 패키
Sui에서 합의 프로토콜은 Myiticeti 프로토콜을 사용한다.기존의 합의 알고리즘보다 빠르고 효율적이다. DAG(Directed Acyclic Graph,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 기반의 합의 방식 \-> 모든 검증자가 동시에 블록을 제안할 수 있음 여러 검증자가 병
이더리움 같은 기존 블록체인은 Account 기반으로 모든 데이터가 계정의 상태 안에 저장됨반면 Sui는 "객체 기반"으로 모든 자산(NFT, 토큰, 스마트 컨트랙트) 등이 독립된 객체로 저장됨 각 객체는 ID를 가지며, 블록체인에서 직접 참조 가능. (트랜잭션을 통해
관리자 권한으로 sui cli 설치sui 네트워크에 연결 활성화된 주소 확인기본적으로 enter 만 누르면 sui test server 에 연결된다.어떤 네트워크에 연결된건지 확인새로운 지갑 생성다른 지갑 활성화네트워크 변경sui 토큰 받기테스트 네트워크에서는 무료로
sui 체인에서 개발을 하려면 move 언어로 개발을 해야한다. struct public struct MyStruct → 공개 구조체 선언 (다른 모듈에서도 접근 가능) has key, store → 구조체가 가질 수 있는 "능력(Abilities)"을 정의 id: UID → Sui에서 모든 객체는 고유한 UID를 가짐 (ID 필수!) value: u...

sui docs너무 너무 자료가 없어서 공식 문서를 보고 만들어봐야하는데 과정을 하나 하나 기록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을 도와줄 수 없을 것 같아서 기록하기로 한다. NFT 렌탈 기능을 Dapp으로 구현하려는 듯하다.nft 렌탈은 NFT 소유자가 소유권을 직접 넘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