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Intermediate Project_KPT회고

5w31892p·2023년 1월 6일
0

KPT_Retrospective

목록 보기
3/4

🐤 주특기 중간 프로젝트를 하며 얻은 것

  1. 소통은 중요하다.
  2. 애매하게 알아들었다면 확실하게 다시 물어보자.

📜 KPT 회고

:: ✍ Keep

1. 정보 공유

  • 이번 프로젝트 때 나도 잘은 모르지만, 나름 보고 도움이 됐던 부분들을 많이 공유했다.
    이 부분이 도움이 되셨을지는 모르겠지만, 도움이 될거라 생각하고 공유하니 정말 뿌듯했다.

2. 책임감

  • 안그래도 총 4명으로 시작했던 프로젝트였는데 한 분께서 개인사정으로 프로젝트 참가를 안하게 되셨다.
    아예 안하셨던 분이시긴 했지만 그래도 아예 3명으로 줄었다는 것 자체에서 멘붕이 왔고, 다른 팀보다 결과물 또한 좋지 못했지만, 3명이서 각자 책임감을 가지고 서로 미루지 않고 각자 일을 맡아 했던 부분이 참 보기 좋았다.

:: ✍ Problem

1. 의사소통의 오류

  • 첫 회의 때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어서 코드 병합 등의 작업이 발표회 전날 급하게 이뤄졌다.
    들을 때에도 애매하긴 했는데, 다음부터는 애매한 상태로 받아들이지 않고 확실하게 묻고 들어야겠다.

2. 작업 분담 및 프로젝트 계획&틀

  • 위에서와 같이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다보니 작업 분담도 프로젝트에 대한 계획도 세우지 않았다.

3. git과 github 미사용

  • 앞서 두 프로젝트에서는 사용했던 git을 이번에는 사용하지 못했다.
  • 그래서 git에서 오는 문제들을 겪지도 못했다.
  • 다음 프로젝트에선 무조건 사용해야겠다.

:: ✍ Try

1. 많은 소통하기

  • 팀원과 많은 소통을 하여 서로 소통에 문제가 생기지 않게 해야겠다.

2. Git과 GitHub 사용

  • 꾸준히 개인적으로도 git을 사용하며 익힌 후 다음 팀 프로젝트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3. 복습 꾸준히, 누적 읽기

  • 강의가 어려워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쉽게 풀이해준 책을 보니 이해가 됐다.
    이처럼 쉽게 정리된 책 등을 통해 복습을 꾸준히 하며, 이해되지 않았던 부분들은 누적 읽기를 통해 머리 속에 넣어야겠다.

:: ✍ Feel

솔직히 저번 프로젝트 때 너무 빠가처럼 있어서 이번 프로젝트에선 꼭 팀원에게 도움은 못되더라도 폐는 끼치지 말자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프로젝트 시작 전, 점프 투 스프링부트 로그인, 로그아웃 부분까지 읽으며 해당 책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따라했었다.
그랬더니 정말 그 전까지만 해도 백지였던 머리속이 뭐부터 해야할지 조금씩 잡히기 시작했다.
이 처럼 이번엔 거의 벼락치기로 했지만 꾸준히 한다면 다음 프로젝트에서도 폐는 끼치지 않을 것 같다.

정말 좋은 팀원들과 함께 해서 좋았던 시간이고, 소통의 중요성 또한 깨달았던 프로젝트였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