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노트북으로도 프로젝트를 하고 싶어서 vscode를 설치하고 터미널은 맥에서 쓰던 zsh로 바꾸기 위한 기록.
우분투 설치 -> zsh 설치 -> 테마 설정
📎 zsh 깃허브
📎 참고 블로그
📎 Powerlevel10k 테마 참고 사이트
wsl --install
나 같은 경우 이렇게 떴는데 이거 그래서 깔린 건지 아닌 건지 고민하다가
현재 wsl버전을 확인하면 될 것 같아서
wsl -l -v
위 코드를 입력해보면
사이트는 여기로 이어진다.
(나는 설치한 적이 없는데 왜 작동이 안 될까. 배포판 목록을 보고 우분투를 깔기로 했다.)
wsl --install -d ubuntu
다른 글을 보고 microsoft store에서 우분투를 설치해놨더니 자동으로 뜬다.
이처럼 뜨면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설정해준다.
설치 성공 메시지를 보고 다시 wsl 버전을 확인해본다.
잘 설치됐다!
sudo apt install zsh
chsh -s /usr/bin/zsh
zsh를 설치한 후 기본 쉘을 zsh로 변경해준다.
터미널을 껐다 켜고 이런 내용이 보이면 2
를 눌러준다.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터미널을 열고 기본 프로필 선택
에서 wsl을 설정해주면 된다.
테마는 zsh 깃허브에서 구경할 수 있는데 테마 구성을 설치 마법사처럼 해준다는 Powerlevel10k 을 사용하기로 했다.
( 원하는 테마로 설정하는 법 참고 블로그 )
순서는 아래와 같다.
폰트 4개를 설치해주고 터미널에 입력해준다.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omkatv/powerlevel10k.git ~/powerlevel10k
echo 'source ~/powerlevel10k/powerlevel10k.zsh-theme' >>~/.zshrc
source ~/.zshrc
이후 터미널을 껐다 켜면 마법사가 실행된다.
원하는 스타일대로 입력해나가면 된다.
다 지정하고 나서 스타일을 다시 바꾸고 싶다! 싶으면 입력하면 된다.
p10k configure
마음에 드는 스타일로 변경 완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