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RTC는 웹 상에서 일어나는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술로 중개 서버가 없어 빠른 속도로 브라우저 간에 직접 오디오나 비디오를 스트림하거나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WebRTC는 두 Peer 간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P2P 방식이다. 두 peer가 직접 통신을 하려면 각 브라우저가 서로의 주소를 공유해야 하며 방화벽을 우회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중재자가 필요한데, 이 중재자는 'STUN 서버'나 'TURN 서버' 같은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술로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매핑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여러 개의 디바이스가 단일한 공인 IP주소를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 네트워크(ex. 사무실의 네트워크)의 사설 IP주소를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의 공인 IP주소로 변환한다.
내부 네트워크 구조를 외부로부터 숨김으로써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한다. 외부에서는 내부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IP 구조를 알 수 없으며, 오직 공인 IP 주소를 통해서만 소통 가능하다.
여러 디바이스가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공유함으로써 필요한 공인 IP 주소의 수를 줄요 IPv4 주소의 고갈 문제를 완화한다.
내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이 외부로 전송될 때 NAT는 해당 패킷의 출발지 IP 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변환하고 이를 인터넷에 전송한다.
NAT 장비는 이 주소를 내부 네트워크의 해당 사설 IP주소로 다시 변환하여 올바른 내부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고정된 사설 IP주소와 공인 IP주소를 1:1로 매핑한다. 특정 서버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해야 할 때 사용된다.
즉, 특정 내부 디바이스와 공인 IP 주소를 1:1로 고정적으로 연결할 때 사용
사설 IP 주소를 동적으로 공인 IP주소와 매핑한다. 사용 가능한 공인 IP주소 풀에서 주소를 할당 받는다.
여러 사설 IP 주소를 단일의 공인 IP 주소로 매핑하되,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구분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통해 다수의 내부 디바이스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