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본 구조 가이드
계층별 역할
계층 | 이름 | 설명 |
---|---|---|
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
6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 문자코드, 압축, 암호화 |
5계층 | ⛳️세션 계층(Session) | 통신 방식 결정 |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 신뢰성 있는 통신 구현 |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IP주소 결정 |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 물리주소 결정 |
1계층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 변환 |
계층기본구조
**1~4의 데이터 플로우 계층과 5~7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나누기도 함
📌 각 계층 장비의 기준
각 계층 장비는 아래 레이어를 포함하는 구조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연결은 케이블(L1 장비)로 L2, L4 장비를 연결해 모두 연결한다.
- L2 스위치가 L3 장비기능도 하고있음
- L5 ~ L7 구간은 논리적인 SW 구간임
허브, 라우터, 케이블, 네트워크 카드 등
📌 IP vs MAC
IP 주소
- 장치가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시점에 할당받는 번호
= 이사가는 시점에 할당받는 집주소- 192.168.0.2
= (대한민국).(경기도).(광명시).(철산로54번지)MAC 주소
- 장치가 생산될때 제조사에서 할당해주는 고유번호
= 내가 태어날때 할당받는 주민등록 번호- ac:d0:74:78:42:07
= (91:08:07):(10:34:13)네트워크 등록요청 → 장비에 IP주소 할당 → MAC주소와 매핑
매핑정보를 통해 전송경로를 타고간다.
네트워크 장비들끼리 서로 MAC 주소를 알려주면서 연결된다.
- 도착지 IP주소를 찾을때까지 출발 MAC 주소와 도착지 MAC 주소를 계속 업데이트 시키면서 이동
- 출발& 도착 IP주소는 변하지 않고 MAC주소는 계속 바뀜
- MAC주소는 L2스위치가, IP주소는 L3라우터가 알고있음
IP주소를 제공, 역할 수행
서로 다른 네트워크 속한 컴퓨터끼리 데이터 주고 받음
데이터단위 = 패킷(packet)
구조
데이터 전송, 최적의 경로 선택
라우팅(routing)
IP주소 기반 외부 네트워크 통신
장비
L4스위티(로드밸런서)
세션(Session)계층
표현(Presentation)계층
응용(Application)계층
현재는 업데이트 모델 사용
IP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를 연결, TCP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
TCP (4계층)
IP (3계층)
TCP/IP 프로토콜 집합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