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쟁이사자처럼 프론트엔드스쿨 9기
A.
auto값은 브라우저가 남은 너비의 공간을 자동으로 계산해서 좌우 균등하게 배분한다.
margin left: auto;
또는
margin right: auto;
로 설정했다면,
element는 지정된 width만큼의 공간을 차지하고,
남은 공간은 균등하게 나누어져 좌, 우 margin이 갖게 되는 것이다.
A.
A.
부모 요소에게 지정된 속성 중 몇 가지가 자식 요소로 값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것은 1-3 수업 정리에 예제와 함께 정리해두었다!
A.
margin: 0
padding: 0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ackground-image: none
font-size: 16px
display: inline
width: auto
등등...이 있다.
A.
doctype은 최신의 html 버전(living standard)에 맞게 코드를 작성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이다.
A.
index.html 파일이 뭔데?
- 웹 사이트의 기본 페이지에 표시되는 파일, 웹 사이트의 기본적인 필수 값을 포함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일 이름임
웹 서버에서는 원하는 모든 파일을 해당 사이트의 기본값으로 인식하도록 구성하는데, 추가 구성 필요 없이 대부분의 서버에서 즉시 인식되는 파일=index.html 이기 때문에 index.html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A.
부모 요소: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가장 가까운 상위 요소
형제 요소: 같은 부모를 가지고 있는 요소
Ex.
<html>
<head>
<title>aaa</title>
</head>
<body>
<h1>멋사</h1>
<p>프론트엔드 스쿨</p>
</body>
</html>
부모-자식 관계: <body>
(부모), <h1>, <p>
(자식)
형제 관계: <h1>, <p>
A.
html 문서에서 지정된 태그를 지칭하는 선택자
Ex.
<html>
<head>
<title>aaa</title>
<style>
h1 {
color: red;
}
p {
background-color: grey;
}
</style>
</head>
<body>
<h1>멋사</h1>
<p>프론트엔드 스쿨</p>
</body>
</html>
타입 셀렉터: h1, p
A.
<div>나는 감자</div>
를 작성했을 때, 웹 사이트에서 보면 '나는 감자' 라는 글자만 나타남<h1>나는 감자</h1>
코드를 웹 사이트에서 실행시키면 div와는 다르게 텍스트가 크고 굵게 나타난다.내가 착각했던 것: div가 문단을 나누는 용도로도 사용되는 줄 알았는데, 문단/문장/글의 내용을 갖는 것은 <p>
였다. 또한 주제를 나타낼 땐 <article>
도 사용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