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라는 책을 기반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1.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
네트워크는 각 계층별로 처리범위가 다르며, 각 계층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는 그의 하위 계층은 처리할 수 있지만 상위 계층에 대한 처리는 불가능하다.
1) 애플리케이션 계층
- L7 스위치
2) 인터넷 계층
- 라우터
- L3 스위치
3) 데이터 링크 계층
- L2 스위치
- 브리지
4) 물리 계층
- NIC
- 리피터
- AP
1)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L7 스위치
- 로드밸런서라고도 하며,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는 기기
-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요청들을 여러 서버로 나누는 역할
-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 증가가 목표
- URL, 서버, 캐시, 쿠키들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
- 정기 헬스 체크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서버를 감시하여 트래픽 분산 대상에서 제외한다.
L4스위치와 L7스위치의 차이
L4스위치
-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 IP와 포트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
헬스 체크
- 정상적인 서버 또는 비정상적인 서버를 판별하는 방법
- 전송 주기와 재전송 횟수 등을 설정하여 반복적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것
로드밸런서를 이용한 서버 이중화
- 서버 이중화는 로드밸런서의 대표 기능
- 2대 이상의 서버를 기반으로 가상 IP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
2)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라우터
가정용/소형 오피스용 라우터의 모습
-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분할, 구분시켜주는 역할
-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끼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패킷 소모를 최소화하고 경로를 최적화하여 최소 경로로 패킷을 포워딩한다.
L3 스위치
- L2 스위치의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갖춘 장비
- 라우터라고 해도 무방
- 라우터
- 소프트웨어 기반의 라우팅
- 하드웨어 기반의 라우팅 = L3 스위치
3)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L2 스위치
- 장치들의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해 관리
- 연결된 장치로부터 패킷이 왔을 때 패킷을 전송
- IP 주소 기반의 라우팅은 불가 (이해하지 못함)
브리지
-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
- 포트와 포트 사이의 다리 역할
- 장치에서 받아온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로 관리
4) 물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NIC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2대 이상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사용
-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하는 확장 카드
- 각 LAN 카드는 고유한 식별번호인 MAC 주소를 포함
리피터
- 들어오는 약해진 신호 정도를 증혹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장치
- 이를 통해 패킷이 더 멀리 갈 수 있다
AP
- 패킷을 복사하는 기기
- AP에 유선 LAN을 연결한 후 다른 장치에서 무선 LAN 기술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