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07 1주차 WIL

김민준·2023년 7월 9일
0

WIL

목록 보기
3/19

2023 07 03
2023 07 04
2023 07 05
2023 07 06
2023 07 07
2023 07 08

이번주에 공부하며 느낀 점

  1. 반복의 제거
    저번주의 과제를 바탕으로 이번주 과제를 진행했는데, 같은 기능이 계속해서 반복된 부분이 있어서 가독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도 힘들어보였다.
    그래서 하나의 함수로 묶는 작업을 했는데 일부는 성공하였고 일부는 실패하였다.
    처음부터 읽기 쉽게 만드는것이 중요한 것 같다.
  2. 위에서 이어지는 것이다.
    같은 코드를 짜더라도, 변수명, 함수명, 그리고 배열을 읽기 쉽게해야지 유지보수가 쉬워진다.
  3. 팀원들과 스타일을 하나로 통일하자
    팀과제를 할때는 못느꼈는데 그것을 바탕으로 다시 개인 과제를 진행하니까 느껴지는 것이 있었다. 나의 경우 html에서 버튼을 누르면 function이 작동하고, 그것이 라우터에서 정의되고 실행되는 방식으로 짰다. 하지만 팀원 A는 function을 별도의 .js 파일에서 정의되고 라우터에서 실행되도록 만들었다.
    또 다른 예시로는 여러사람이 만들다보니 프론트, 모델, 라우터의 이름이 직관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부분들도 많았다. index.html,home.js가 서로 연결되어있거나, api.js에는 index.html의 function들만 모여있는 식이었다.
    개인단계에서는 스스로 고칠 수 있지만 팀 과제에서는 그것이 힘드므로 처음부터 잘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것같다.
  4. 같은 node.js를 쓰더라도 명령어를 다르게 입력해야할 때가 있다.
    이것은 아직 이유를 모르겠다. 팀원들의 컴퓨터에서는 됐는데 내 컴퓨터에서는 되지 않아서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결과는 같았다.
  5. 전역변수 값 변화?
    아직 확인 중인 것인데, 쿠키를 파싱한뒤, userId의 값을 전역 변수로 설정한뒤 버튼속의 함수에 넣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하지만 쿠키를 없애거나, 서버를 종료한뒤 다시 시도해도 userId의 값이 바뀌지 않는 버그가 생겼다.
    정확히는 userId의 값은 새로운 쿠키에서 새로운 값을 가져오지만, 전역 변수로 선언된 userId의 값은 처음의 쿠키에서 읽어온 값에서 변하지 않았다.
    심지어 버튼을 두번이상 누르면 원래의 userId 값 +1 된 값이 들어가게 되었다.
    이유를 알 수 없어서 전역 변수 선언을 지역 변수 선언으로 바꾸니 버그 자체는 해결되었다. 하지만, 이유는 알아내지 못하였다.
profile
node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