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브라우저
참조한 페이지
CS
컴퓨터의 구성요소
컴퓨터는 위와같은 구성을 가지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 1. 입력장치 :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명령하는 장치. 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스캐너, 마이크 등
- 2. 출력장치 : 컴퓨터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보여주거나, 처리 결과를 보여주는 장치
즉, 입출력은 컴퓨터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보여주고 > 사용자가 입력장치로 명령을 내린뒤 > 컴퓨터가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 3. CPU : 컴퓨터가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장치.
"기계어"를 CPU가 알아볼수있게 하드웨어적으로 변환한 것을 어셈블리어라고한다.
어셈블리어를 사람이 알아볼 수 있게 소프트웨어적으로 변환한 것을 컴퓨터언어라고한다.
- ALU Arithmetic Logic Unit 산술 논리 연산장치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
- CU Control Unit 제어부
명령어의 해석과 올바른 해석을 위해 CPU를 내부적으로 제어한다.
내부버스
CPU내에서 데이터, 주소,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회로. 밀폐되고 비공개이다.
- 레지스터 Register
처리할 명령어가 저장된다.
아래는 특수목적 레지스터이다.
1.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MAR : 읽고 쓰기 위한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저장
2. 프로그램 카운터 PC :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
3. 명령어 레지스터 IR : 현재 실행중인 명령어를 저장
4.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MBR :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나 저장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
5. 누산기 ACcumulator : 연산결과를 임시로 저장
즉,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한 뒤, 명령, 임시데이터, 연산결과를 저장하는 역할이다.
- L1 캐시 CACHE 메모리
처리속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브라우저
내가 브라우저에 대해 알고 있는 것
인터넷을 통해서 다른 컴퓨터에 있는 문서를 볼 수 있게해주는 프로그램
사용자와 서버의 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으며, 그것을 그려내주는 역할을 한다.
좀 더 조사한 것
웹 브라우저
는 HTTP라는 통신 규약을 따라서 웹의 다른 곳에서 정보를 가져와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표시를 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서버에서 정보를 가져와서 문자와 그림으로 바꿔주는 것을 랜더링 엔진
이라고 한다. 이 정보를 HTML
이라고 한다.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게 해주는 것을 하이퍼링크
라고 한다.
다만 모든 브라우저가 같은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은 아니다. 브라우저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웹 표준
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위와같이 정보를 받아오고 보여주는 것 이외에 저장하는 기능도 있다. 이것을 쿠키
라고 부른다.
쿠키는 이미 방문한 사이트를 다시 방문할 때 로그인할 필요가 없게 만들어주거나, 콘텐츠를 로딩할 필요 없게 만들어준다.
또 사용자의 관심사, 브라우징 패턴등을 저장하여 광고에 사용될 수 도 있다고 한다.
쿠키의 도메인과 스키마가 다른 제 3자 쿠키
라는 것도 존재한다. 이것은 웹 개발자가 사용하는 쿠키가 아니라 제 3자가 사용하는 쿠키라고한다. 사용자가 어떤 언어를 사용하고, 어느페이지에 얼마나 머물렀는지등을 기준으로 사용자 분석과 광고에 사용된다고한다.
참조한 페이지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
내부 버스, 內部-, internal bus
browser
웹 브라우저란 무엇인가요?
제 3자 쿠키 허용, 왜 위험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