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은 것
- 실무에서는 넘사로 while문보다 for문을 엄청 많이 사용
while 을 선택하는 유일한 기준은 "반복을 몇 번 해야할지 정확히 몰라 조건을 사용해야하는 경우" 가 유일 , 나머지는 무조건 for문
- 주석을 달면서 공부를 진행 하다 보면 좀 더 긴 문제도 쉽게 풀기 가능
- ai도 틀릴 수 있다. 틀린다는걸 알아내는 능력 필요
- 힌트는 맨위 2줄에서 빠르게 적어 정리해놓는게 보기도 쉽고 편하다
- 코드의 가독성이 편하게
- ⭐코드 실행 순서
1 #함수를 먼저 정의해보기
2 def convert_ctr(ctr_list): #새로운 함수를 정의한다. 함수의 이름은 convert_ctr이다. 'ctr_list'라는 값을 받는다.
3 shift_list = [] #결과를 저장할 빈 리스트를 만들었다. 여기에는 100이 곱해진 값을 넣는다.
4 for ctr in ctr_list: #for 반복문을 사용한다. 입력된 ctr_list 리스트를 반복한다. 0.034, 0.027이라는 값이 ctr 변수로 지정된다.
5 shift = round(ctr * 100, 1) #5번 돌리면서 각 값에 100을 곱한다.
6 shift_list.append(shift) #계산된 백분율 값을 shift_list에 추가한다.
7 return shift_list #for 반복문이 끝나면 return이 실행된다. 완성된 shift_list를 반환한다.
8
9 ctr_data = [0.034, 0.027, 0.045, 0.012, 0.059] #원본 데이터 리스트를 정의한다.
10
11 result = convert_ctr(ctr_data) #함수 결과 값 호출
12 print(result) #값 [3.4, 2.7, 4.5, 1.2, 5.9]
실행순서 1>2>9>11>3>4>--
-> ctr_list를 c_list로 받은거
-> 함수밖에서 만들면 그건 전역변수 , 안에서 만들면 지역변수
⭐헷갈린 개념
- int 숫자로 바꾸는 함수
- i%2==0 이건 무조건 if문으로 감싸야 작동함! if를 잊지말자!
🧡세션 3회차 개념 정리🧡
---함수---
- 함수: 입력을 받아 원하는 처리를 한 후 출력을 내보내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
- 함수 구성요소
def 함수이름(매개변수1, 매개변수2):
수행할코드1
수행할코드2
return 결과값
- Input: 매개변수, 파라미터(parameter)
- 코드블록
- Output: 결괏값, 리턴값(return), 출력값, 반환값
- print :
- return : 함수를 바로 종료시키면서 반환할 값을 정의 -- 지정 안하면 none 출력
함수가 반드시 어떤 값을 return해야 하는 것은 아님. return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return None 이 숨겨져 있습니다.
=>> 🎀return 과 print 차이
= return은 CTR을 저장해서 다른 지표와 비교하거나 보고서 작성에 쓸 때 사용하여 결과를 변수에 저장해 활용 가능
= print는 CTR 수치를 보고만 싶을 때 사용하여 단순 모니터링용으로 출력값만 확인 가능
함수 추가 정보
1. 파라미터가 없는 함수
2. 여러개의 값 RETURN 하기
3. 지역변수
4 전역변수
3회차 과제
문제1.
def capitalize_first(text):
return text[0].upper() + text[1:]
result = capitalize_first("leesehee")
print(result)
문제2.
세션 3회차 필기
- def는 함수를 정의(define) 한다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