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 Python 기초 이론 (1)

셔닝🧸·2025년 5월 27일
0

오늘의 학습

  1. 출력문
  2. 데이터 타입
  3. NaN (결측값)
  4. 입력문

  1. 출력문

코드상의 결과물을 출력시켜 그 결과물을 직접 볼 수 있도록 해주는 문법

✅ 대표적 출력문 함수 print함수

  • print() : 괄호 안에 출력하고 싶은 값 입력
    Ex. print(1, 2, 3) ==> 1 2 3 출력
  • , 사용 시 여러 값 출력 가능!

  1. 데이터 타입

‼️ 데이터 타입 얘기하기 전에 변수에 대해 먼저 알아봅시다!

[변수]
➖ 변수 = 값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기 전에 선언
➖ 변수선언 시 임의로 변수명 지정, '='을 사용하여 값 할당
Ex. x(변수 선언)=25(값 할당), name(변수 선언)="Julia"(값 할당)
➖ 변수 특징

  • 변수에는 어떠한 값이든 할당 가능
  • 변수명을 사용하여 해당 값에 접근

➖ 변수의 자료형

  • 문자열 자료형
    List(리스트), Tuple(튜플), Strings(문자열)
  • 숫자형 자료형
    Integers(정수), Floats(실수), Complex(복소수)
    *복소수는 다루지 않을 예정
  • Dictionary
  • Set

[데이터 타입]

⭐️ 데이터 타입 확인 방법
print(type(age)) ==> class 'int'
print 괄호 안에 type(변수) 입력

1️⃣ 문자열
➖ 문자열은 "" or '' 사용하여 선언 (둘 중 상황에 맞게 아무거나 사용)
➖ 변수끼리 + 로 연결하여 문자열 연산 가능
➖ 문자열 메서드

❓ 메서드 =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Ex. sentence = "Hello, hi"
print(sentence.upper()) ==> Hello, hi 가 대문자로 변환되어 출력

2️⃣ 숫자열
➖ 정수나 실수 형태의 숫자열 변수에 그냥 할당
Ex. num1=26
➖ 숫자열 연산: +(합), -(차), *(곱), /(나누기), //(몫), %(나머지)
➖ 숫자열 메서드

  • abs() 함수: 절댓값 반환
  • round() 함수: 반올림

➖ 정수형(int) & 실수형(float)

  • 정수형: 소수점 X 숫자, int형으로 표현
  • 실수형: 소수점 포함, float형으로 표현

3️⃣ 불리언(Boolean)
➖ True / False
Ex. x=10, y=7
greater_than = x > y
print(greater_than) ==> True


  1. NaN (결측값)

❓ 숫자형 안에 들어있는 어떤 하나의 값이나, 값이 없거나 읽어들이기 곤란한 것이 담긴 경우 나오는 정의할 수 없는 수치값

Ex. result = 1/0 (분모가 0 인 경우)
print(result) ==> NaN


  1. 입력문

➖ input() 함수
➖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받고자 할 경우 사용
Ex.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print("안녕하세요,",name, "님!")
🔻🔻🔻
➖ input() 함수는 숫자를 입력해도 문자열 형태로 입력 받음

⭐️ 숫자열 형태로 변경하는 방법
int() / float() 함수를 사용해 문자열 ➡️ 숫자열 형태로 변경
Ex. number = 17.7 ➡️ new_number = int(number) = 17

profile
어떻게든 하겠숴여...❕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