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케팅 직무 이해하기
브랜드 마케터가 하는 일
1️⃣ 브랜드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슬로건 기획
2️⃣ 특정 기간 동안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광고 캠페인으로 기획
3️⃣ 브랜드가 고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고객들이 실생활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 캠페인 기획
단계별 업무
1️⃣ 전략 ⭐️
브랜드 목적과 포지셔닝 정의
시장 기회와 경쟁 분석
데이터와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전략을 브랜드와 연결
2️⃣ 디자인
비주얼,언어,음향,모션 등 브랜드의 모든 측면 구현
로고, 컬러 시스템, 타이포그래피, 네이밍, 톤앤매너 등 결정
통합 가이드라인 개발
전략을 뒷받침해주는 역할
- 눈으로 보거나 소리로 듣기만 해도 브랜드 전략의 방향성이 느껴지고 일관되게 오게 하는 것
3️⃣ 경험
실제 고객 접점에 디자인 액션 적용하는 단계
모든 접점에서 일관된 브랜딩 보장
매장 환경,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경험 설계
4️⃣ 측정
캠페인의 1️⃣~3️⃣ 사이클 돈 후의 단계
브랜드 가치 평가 및 최적화
브랜드 캠페인 성과 모니터링 (정량적 측정)
직무 요약
단발성
한 눈에 보고 고객들이 셀링 포인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전달
흥미 이끄는 이미지/영상 콘텐츠
2️⃣ B2B
신뢰도 쌓아서 구매 타이밍에 여러 업체에 제안서 요청
전문성 있는 콘텐츠 제작
긴 종류의 텍스트 콘텐츠
퍼포먼스 마케터가 하는 일
1️⃣ 광고 세팅 및 실행
2️⃣ 결과 보고서 작성 → 인사이트 도출 후 공유
3️⃣ 성과(=퍼포먼스) 측정
직무 요약
⭐️ CRM 마케터 직무 요약
이미 우리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고객 타겟
→ 고객들에 대한 데이터 존재 보유
대표 브레인즈마케팅 VS 그로스해킹 차이
그로스해킹 ≠ 마케팅
그로스해킹 정의
: 데이터와 실험에 입각해 우리가 원하는 지표를 빠르게 올릴 수 있는 방법론 = 급속 성장 실험
👉🏻 주로 PM, PO 개발자 있는 제품팀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
1️⃣ 무엇을 성장시키고 싶은지 결정 (= 문제정의)
사용성에 대한 것인 경우 ⬆️
- 신규 유저 획득
- 전환
- 재사용
- 객단가
2️⃣ 임팩트 있고 빠른 방식 찾기
‘임팩트 있다’는 말의 의미
광고 매체에 광고를 올리는 일반적인 워크 플로우를 더 잘한다는 게 아님 X
기술을 활용하여 지금까지 시도해보지 못한 새로운 액션 취하는 것
👉🏻 근본적 문제 해결 방식 파악
매체를 벗어난 아이디어
여러 팀과의 협업
3️⃣ 데이터에 근거해 개선 반복
지표 설정
측정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