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1
코드 :
/*=========================================
컴퓨터공학과, 2021112003, 공기훈, 20210907
=========================================*/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이름 : 공기훈\n");
printf("대학 : 동국대학교\n");
puts("학과 : 컴퓨터공학과");
puts("학번 : 2021112003");
printf("취미 : 풋살, 넷플릭스 시청\n");
return 0;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이름, 대학, 학과, 학번, 취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보기 좋게 하기 위해 하나의 항목마다 띄어쓰기를 하기 위해서 printf 함수 안에는 ‘\n’을 입력해주었고, puts 함수는 \n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쓸 필요가 없어서 안 썼다.
과제 2
코드 :
/*=========================================
컴퓨터공학과, 2021112003, 공기훈, 20210927
=========================================*/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일\t월\t화\t수\t목\t금\t토\n");
printf("\t\t\t1\t2\t3\t4\n");
printf("5\t6\t7\t8\t9\t10\t11\n");
printf("12\t13\t14\t15\t16\t17\t18\n");
printf("19\t20\t21\t22\t23\t24\t25\n");
printf("26\t27\t28\t29\t30\t\t");
return 0;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2021년 9월의 달력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각 요일과 일 사이에 간격을 주기 위해서 ‘\t’를 사용하였고, 토요일에서 일요일로 넘어갈 때는 줄이 바뀌므로 ‘\n’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printf함수 하나로 할 수도 있지만 코드를 보는 사람이 편하도록 저렇게 작성해보았다.
과제 3
코드 :
/*=========================================
컴퓨터공학과, 2021112003, 공기훈, 20210907
=========================================*/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d\n", 15); // 15라는 정수를 출력하기 위한 코드이다.
printf("%d\n", 015); // 0을 앞에 쓰면 8진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 그러므로 13을 출력하게 된다.
printf("%d\n", 0x15); // 0x를 앞에 쓰면 16진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 그러므로 21이 출력되게 된다. 참고로 16진수에서는 9, 10, a, b, c, d, e 순이다.
printf("%f\n", 1.23); // 1.230000이라는 실수를 출력하기 위한 코드이다.
// E+나 E-는 자릿수를 의미한다.
printf("%f\n", 1.23E+2); // 1.23 x 10^2 를 나타내는 것이다.
// 그러므로 123.000000이 출력된다.
printf("%f\n", 1.23E-2); // 1.23 x 10^-2 를 나타내는 것이다.
// 그러므로 0.012300이 출력된다.
return 0;
}
설명 :
“” 안의 %d는 정수를 출력하기 위한 자료형이다.
“” 안의 %f는 float를 나타내고, 정수가 아닌 다른 수, 실수들도 출력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