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커맨드가 정답이다.
아래는 해당 내용을 공부했던 기록이다.
Github의 많은 Repository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재현해보고 싶을 때
git clone 을 활용하곤 한다.
이 경우 관성적으로 로컬환경의 workspace 내에 신규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해당 폴더에서 python -m venv venv로 가상환경을 구성하고 작업을 시작했다.
먼저, Docker와 Venv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해 GPT에 물어봤다.
...
따라서, 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실행을 위한 도구이고, 가상 환경(venv)은 Python 패키지 및 개발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필요에 따라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거나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ocker-compose.yml 파일을 열어보면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실행 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는 Docker-compose를 통해 nginx 이미지를 컨테이너화했다.
web과 db의 이미지를 불러오는 과정이다.
db의 경우 postgres:12.2 로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은 와닿는데,
web의 경우 build: . 으로 시작한다. 이 부분은 뭘까?
repository 클론을 했을 때 Dockerfile도 함께 받아졌다.
build : . 은 Dockerfile의 전체 내용을 읽어온다는 뜻이다.
참고로 . 은 '모든' 것 (ex:폴더 내의 모든 파일, py 파일 내의 '모든' 코드 등등..) 을 뜻한다.
Dockerfile 의 내용이다. Docker-compose.yml의 web 부분의 build:. 내용이 이것이다. 웹 프레임워크를 Django를 사용하는데, 장고 사용을 위한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