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공부한 내용
🎟️ 공연 예매 시스템 핵심 기능 구현
- 공연 등록 / 조회 / 상세 구현 완료
- 좌석 등록 및 공연 연동 완료
- 예매 기능: 예매 요청 → 이선좌 예외처리 → 예매번호(UUID) 생성까지 성공
- 예매 조회:
reservationCode
기반 상세 조회 구현
- 예매 완료 시 마이페이지 알림 방식 설계 확정
💳 결제/주문 기능 설계
- 결제 시 할인 / 수수료 / 배송비 포함 구조 설계
- 배송 방식(enum) 도입:
DELIVERY
vs ONSITE
- 현장수령 시 배송비 0원, 배송 선택 시 3,000원 부과
- 환불 기능은 결제 기능 이후에 구현 고려
📦 대용량 예매 처리 관심 확장
- Spring Batch 기반 10만명 예매 요청 → 큐에 쌓고
- 1000건 단위로 예매 처리하는 구조 기획 완료
- 큐가 밀리는 상황에 대한 기대감 UP
💡 서비스 기능 확장 기획
- 찜하기 기능 추가 예정 → 찜한 공연만 모아보기 페이지 설계
- 실시간 예매율/인기공연 차트 기능 고려 확정
- GPT 기반 기능 아이디어 정리:
- 공연 추천
- 후기 요약 및 감정 분석
- 챗봇 자연어 응답
- 푸시 알림은 제외하고 마이페이지 알림 방식 채택
🛠️ 시스템 구조 및 배포 전략
- DB 확장 계획: H2 → MySQL → MongoDB
- 클라우드 배포: Render 무설치형 플랫폼 사용 예정
- Docker & Kubernetes는 후반부에 도입 예정
- CI/CD는 마지막에 적용
- React 프론트도 추후 연동 예정 (Vite + Tailwind)
❗ 어려웠던 내용
- 예매 응답 JSON에서
seatNo
필드가 null로 출력된 문제
- 원인: Postman JSON을
seatNo
로 맞추지 않았음
❓궁금한 내용 & 부족했던 부분
- OAuth2 간편 로그인 구현은 아직 미진행
- GPT 기반 기능들의 실전 프롬프트 설계는 미정
- 배포 자동화(Docker/K8s/CI-CD)는 아직 본격적으로 안 함
✨ 느낀점
뼈대는 얼추 잡혔다 보니 더 할 수 있는 게 많아져 자꾸만 욕심이 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