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트리는 타겟값이 존재하는 지도학습이고, 결정트리의 예시는 위의 그림과 같다. 설명변수(descriptive variables)에 존재하는 특성의 특정 특성값(특정 기준)을 기준으로 분기가 진행되고 부모노드에서 두 개의 자식노드로 분기된다.(타 알고리즘에서는 다진트리(multi-way tree)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결정트리를 직접 구성한다고 했을 때 대부분의 포스팅들은 실습코드를 제시한다.(sklean등의 라이브러리를 활용) 사실 이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 이런 코드를 쓰고 실행하는 방법을 숙지하는 것은 학습에 의미가 존재하지 않는다. 결정트리의 원리 결정트리의 원리를 첫 문단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결정트리의 처음 부터 끝까지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답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