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
각 사용자마다 브라우저에 정보를 로컬에 저장하기 때문에 고유 정보 식별이 가능하다.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음, 하나의 쿠기값은 4KB까지 저장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다.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시에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 그래서 브라우저 저장소임에도 불구하고 백엔드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쿠키에 있는 내용을 백엔드에서도 빼내어 볼 수 있다.
잔재미코딩님 블로그-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 브라우저(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페이지를 요청(접속)을 보낸다.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작성할 때,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하고 싶은 정보를 응답헤더의 Set-Cookie에 담는다.
- 이후 해당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보낼때마다, 매번 저장된 쿠키를 HTTP 헤더에 쿠키를 포함시켜서 응답한다.
- 보안에 취약하다. 요청을 할 때, 쿠키의 값을 그대로 보내기 때문에 유출이나 조작 당할 위험이 있다.
- 쿠키에는 용량제한이 있어서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없다.
- 웹 브라우저마다 쿠키에 대한 지원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브라우저간 공유가 불가능하다.
- 쿠키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네트워크에 부하가 심해진다.
- 방문 사이트에서 로그인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하시겠습니다?"
- 쇼핑몰의 장바구니 기능
- 자동로그인, 팝업에서 "오늘 더 이상 이창을 보지 않음" 체크
- 정보를 바탕으로 띄우는 추천 광고들
: 비밀번호 등 클라이언트의 민감한 인증 정보를 브라우저가 아닌 서버 측에 저장하고 관리
쿠키의 단점 중 하나인 보안을 해결하기 위해 나왔다.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하기도 하고, 서버의 로컬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도 한다.
- 각 클라이언트에게 고유 ID를 부여한다.
- 서버는 세션 ID로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고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도록 설정 가능하다.
- 클라이언트는 고유 ID만 가지고 있고 서버가 이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관리하므로 비교적으로 보안성이 좋다.
1.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한다.(사용자가 웹사이트 접근)
2. 서버는 세션 ID를 만들고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세션 ID와 함께 저장한다.
3. 생성한 세션 ID를 쿠키에 담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 사용)
4. 전달받은 쿠키는 클라이언트 PC에 저장된다.
5. 이후 다시 서버에 요청할 때 요청과 쿠키를 함께 전달한다.(브라우저에 의해 자동 처리)
6. 서버는 전달받은 쿠키에 있는 세션 ID를 활용하여 해당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한다.
- 서버에서 세션 저장소를 사용하므로 요청이 많아지면(사용자가 많아지면) 서버의 메모리를 많이 차지한다.
- 동접자 수가 많은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되므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된다.
- 쿠키를 포함한 요청이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세션 ID 자체는 유의미한 개인정보를 담고 있지 않지만, 해커가 세션 ID 자체를 해킹해서 클라이언트인척 위장할 수 있다.
비로그인 장바구니
localStorage를 사용하면, 브라우저에 key-value 값을 Storage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한 데이터는 세션간에 공유된다.
즉, 세션이 바뀌어도 저장한 데이터가 유지된다.
- cookies와는 달리모든 HTTP 요청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필요가 없다. HTTP 요청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지 않고 LocalStorage를 이용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전체 트래픽과 낭비되는 대역폭의 양을 줄일 수 있다.
- 최대 5MB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 브라우저를 닫았다가 다시 열어도 계속 유지된다. 저장한 데이터를 명시적으로 지우지 않는 이상 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 도메인마다 별로도 LocalStorage가 생성된다.
- 도메인만 같으면 전역으로 공유가 가능하다.
- Windows 전역 객체의 LocalStorage라는 컬렉션을 통해 저장과 조회가 이루어진다.
호환이 좋지 않다. 웹 스토리지는 HTML5 미만의 브라우저 환경에는 호환되지 못한다.
자동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