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 27일차

안영우·2021년 2월 2일
0
post-thumbnail

✏️ 서론

이번시간에는 최단경로의 마지막 개념인 플루이드 워셜 알고리즘(floyed_warshall_algorithm)을 배워보자.


✏️ 본론

📍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

참고한 강의

  1. 나동빈 - 최단경로

어제 결론을 이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플로이드 워셜의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자.

구분다익스트라(heap)플로이드워셜
사용시기한 지점에서 다른 특정 지점까지의 최단경로를 구하는 경우모든 지점에서 다른 모든 지점까지의 최단경로를 구하는 경우
핵심원리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 최단 거리를 갖는 노드를 찾음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 최단거리를 갖는 노드를 찾지 않음
리스트1차원2차원
분류그리디(greedy)다이나믹프로그래밍(dp)
시간복잡도O(ElogV)O(N^3)
입력범위N >= 30,000N <= 5,000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의 각 단계에서는 해당 노드를 거쳐가는 경우를 고려한다.

예를 들어, 2번 노드의 점화식을 구할 때 대각선2행 2열의 값은 구하지 않아도 된다.
즉, [1, 2, 3, 4]의 노드 중 2를 제외한 나머지 [1, 3, 4]노드 중 2개의 노드를 뽑는 경우 [1, 3], [1, 4], [3, 1], [3, 4], [4, 1], [4, 3]의 경우의 수만 구하면 된다.
나머지 노드의 경우의 수를 구할때도 동일하다.

다음 코드는 3개의 data 중 2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 코드이다.
만약, 다음으로 어떤 항을 구해야하는지 헷갈린다면 참고해서 사용하자.

import itertools

data = [1, 3, 4]

for i in itertools.permutations(data, 2):
    print(list(i), end=' ')
👉🏽 [1, 3] [1, 4] [3, 1] [3, 4] [4, 1] [4, 3]

위에서 설명한 2번 노드의 점화식을 구할 때는 다음과 같이 표로 쉽게 나타낼 수 있다.

대각선과 2행과 2열이 포함된 행열은 계산을 하지 않고, 연필로 표시한 부분만 계산하면되는데 이는 방금 permutations_code처럼 경우의 수가 6인 것과 동일하다.

출발/도착1번2번3번4번
1번0*✏️✏️
2번*0**
3번✏️*0✏️
4번✏️*✏️0

한가지 예를 더 들어 노드 3을 구할때는 다음과 같이 구하면 된다.

출발/도착1번2번3번4번
1번0✏️*✏️
2번✏️0*✏️
3번**0*
4번✏️✏️*0

1~4번까지 모든 경우의 수를 구했다면 다음과 같은 테이블이 나온다.

출발/도착1번2번3번4번
1번0486
2번3079
3번5904
4번71120

참고로, 플로이드 워셜의 점화식은 다음과 같다.

D(ab) = min(D(ab), D(ak) + D(kb))

소스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4
7
1 2 4
1 4 6
2 1 3
2 3 7
3 1 5
3 4 4
4 3 2
'''

INF = int(1e9)

n = int(input())
m = int(input())

graph = [[INF] * (n+1) for _ in range(n+1)]

for a in range(1, n+1):
    for b in range(1, n+1):
        if a == b:
            graph[a][b] = 0

for _ in range(m):
    a, b, c = map(int, input().split())
    graph[a][b] = c
print(graph)

for k in range(1, n+1):
    for a in range(1, n+1):
        for b in range(1, n+1):
            graph[a][b] = min(graph[a][b], graph[a][k] + graph[k][b])


for a in range(1, n+1):
    for b in range(1, n+1):
        if graph[a][b] == INF:
            print('INFINITY', end= ' ')
        else:
            print(graph[a][b], end=' ')
    print()
👉🏽 
0 4 8 6
3 0 7 9
5 9 0 4
7 11 2 0

📍 [ 문제 1 ] 미래도시

문제는 나동빈 - 최단경로에서 찾을 수 있다.

문제요약: 1번회사에서 출발해 X를 거쳐 K로 가는 최단거리를 구하라.

전형적인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문제인데, 주어진 입력 값의 범위가 100이하로 매우 한정적이기때문에 떠올릴 수 있었다.

핵심 아이디어는 1번에서 X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이 구간의 최단거리와 X에서 K로 갈때의 최단거리를 더해주면된다.
short_distance = graph[1][x] + graph[x][k]

중간에 헷갈린게 있었는데, xk는 첫 for문에서 받지말고 중간에서 input값으로 받아주자.

'''
5 7
1 2
1 3
1 4
2 4
3 4
3 5
4 5
4 5

4 2
1 3
2 4
3 4
'''

INF = int(1e9)

n, m = map(int, input().split())

graph = [[INF] * (n+1) for _ in range(n+1)]

for a in range(1, n+1):
    for b in range(1, n + 1):
        if a == b:
            graph[a][b] = 0

for i in range(m):
    a, b = map(int, input().split())
    graph[a][b] = 1
    graph[b][a] = 1


x, k = map(int, input().split())

for k in range(1, n+1):
    for a in range(1, n+1):
        for b in range(1, n+1):
            graph[a][b] = min(graph[a][b], graph[a][k] + graph[k][b])


distance = graph[1][k] + graph[k][x]

if distance >= INF:
    print(-1)
else:
    print(distance)
👉🏽 3
-1

📍 [ 문제 2 ] 전보

마찬가지로 문제는 나동빈 - 최단경로에서 찾을 수 있다.

문제요약: 도시 C에서 보낸 메시지를 받게 되는 도시의 개수는 총 몇개이며, 도시들이 모두 메시지를 받는데까지 걸린 시간은 얼마인지 계산하시오.

우선순위(heap) 다익스트라로 풀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이유는 N, M값이 충분히 크고,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까지의 최단거리 문제로 치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모든 도시들이 메시지를 받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구해야하기 때문에 도달이 가능한 도시 중 가장 큰 비용(max) 값을 구해야한다.

이 부분을 어떻게 해결할지몰라 고민했다.

max_distance라는 변수를 설정하고 반복문을 설정하여 기존 distancei값을 비교하여 제일 큰 수를 넣어주었다.

그리고, 문제에서 도시 C에서 보낸 메세지를 받는 도시의 총 개수라고 했으니까 C를 제외하고 메세지를 받은 도시를 나열해야한다 그러므로, 총 count에서 -1을 해줬다.

'''
3 2 1
1 2 4
1 3 2
'''

import heapq

INF = int(1e9)
n, m, start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1)]
distance = [INF] * (n+1)

for i in range(m):
    x, y, z = map(int, input().split())
    graph[x].append((y,z))

def dijkstra(start):
    q = []
    heapq.heappush(q, (0, start))
    distance[start] = 0

    while q:
        dist, now = heapq.heappop(q)
        if distance[now] < dist:
            continue

        for i in graph[now]:
            cost = dist + i[1]
            if cost < distance[i[0]]:
                distance[i[0]] = cost
                heapq.heappush(q, (cost, i[0]))

dijkstra(start)

max_distance = 0
count = 0
for i in distance:
    if i != INF:
        count += 1
        max_distance = max(max_distance, i)

print(count - 1, max_distance)
👉🏽 2 4

✏️ 결론

이 외에도 플로이드워셜알고리즘은 문제가 많지만 하나푸는데 오래걸려 많은 문제를 풀진 못했다.

어느덧 이 책의 이론 부분의 마지막 파트인 그래프 이론만을 남겨두고 있다.

알고리즘 공부를 한지 27일밖에 되지않아 이제 감을 조금 익혔다?라는 생각이든다.

이론을 공부하고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 더 가까이 느껴지지 않을까?
화이팅.

profile
YW_Tech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