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OSI 모델: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모델
1계층: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실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물리적 매체 (예: 케이블, 무선 신호).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물리 계층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오류 검출과 수정 역할을 담당.
3계층: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경로를 결정하고 전달.
4계층: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보장, 데이터 흐름 제어, 오류 복구.
5계층: 세션 계층 (Session Layer): 두 장치 간 통신 세션 관리 (연결 설정 및 종료).
6계층: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데이터 형식 변환, 암호화/복호화.
7계층: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통신.
계층 | 주요기능 | 우편 시스템과의 비교 |
---|---|---|
물리계층 | 물리적인 전송로를 제공 | 기차, 항공기, 버스등에 의해 해당 지역으로 운반 |
PDU 는 데이터 단위
이다.
연필 12개를 1다스, 김 100장을 한 톳이라고 부르듯 계층 별 데이터를 부르는 단위이다.
물리 계층의 데이터 단위는 0과 1로만 이루어진 Bit
이다.
Transmission medium 또는 Transmission media라고 불리는데 이 전송매체에 대해 알아보자.
전송 매체는 두가지로 나뉘는데, 유도 매체(유선)와 비유도매체(무선)로 나뉘고 각 유형마다 고유한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역할 : 전송 매체를 통해 신호를 보내서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유도 매체
장점
제어된 경로 : 신호가 특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간섭을 줄이고 보다 일관된 전송 품질을 제공.
높은 대역폭 : 특히 광섬유에서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 가능.
보안성 : 유도 매체는 비유도 매체에 비해 도청에 덜 취약하여 데이터 전송 시 보안성이 더 높다.
신뢰성 :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더 낮은 지연 시간과 더 높은 데이터 무결성을 갖춘 더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
단점
설치 비용 : 케이블을 설치하는 것은, 특히 장거리 설치 경우, 비용이 많이 들고 노동 집약적(힘듦)일 수 있다.
유지관리 : 케이블은 마모, 환경적 요인, 물리적 손상의 영향(파괴)을 받을 수 있으며, 정기적인 유지관리가 필요 할 수 있다.
이동성 제한 : 연결된 장치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이동성이 낮다.
비유도매체
장점
이동성 : 무선 통신을 통해 장치를 케이블에 묶지 않고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더욱 유연하고 편리.
설치 용이성 :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은 보편적으로 더 빠르고 비용이 적게 든다. 특히 넓은 지역이나 케이블 설치가 어려운 환경에서는 더욱 그렇다.
확장성 : 무선 네트워크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유선 네트워크에 추가하는 것보다 쉽다.
단점
간섭 : 비유도 매체는 다른 무선 장치, 물리적 장애물, 환경 요인 등의 간섭을 받기 쉽고 이로 인해 신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보안 위험 : 무선 전송은 도청과 무단 액세스에 더 취약하므로 강력한 보안 조치가 필요.
낮은 대역폭 : 일반적으로 무선 연결은 유선 연결에 비해 대역폭이 낮고 데이터 전송 속도도 느리다. 하지만 무선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제한된 범위 : 무선 신호의 유효 범위는 제한되어 있고, 거리와 장애물에 따라 신호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정리
유도 매체는 안정적이고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이동이 제한된다
반면 비유도 매체는 유연성, 설치 용이성,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외부 간섭과 보안 위험에 더 취약하고 일반적으로 대역폭이 낮다.
이더넷과 광섬유를 포함한 현대 컴퓨터 네트워크는 주로 디지털 신호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음.
0과 1로만 이루어진 이산적 데이터!!
컴퓨터에 하드웨어 구성 중 LAN 카드가 송신할때 바이너리 데이터(0과 1로만 이루어진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해주고, 수신할때 전기,광학 신호를 받아서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 LAN 카드가 어디에 연결되어 있나요?
오늘날 대부분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공유기는 라우터 역할을 합니다.
-> 컴퓨터 네트워크는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A와 B만 있다고 한다면 한개의 전선과 한개의 연결부만 필요하다.
하지만 많은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려면 전선을 몇개나 연결해야 할까.
이런 연결 방식은 전선도 많이 필요하고, 연결부도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많아 질수록 비효율적인 방법이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여러 장치가 있다.
대역폭 : 어떤 매체나 기기를 경유하여 정보를 전송할 때의 전송량
A컴퓨터의 A데이터 -> B컴퓨터에게만 전달
MAC주소 : 네트워크의 각 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하드웨어 식별자
라우터와 라우터가 필요한 이유!
외부의 특정 네트워크를 가져오기 위해선, MAC주소뿐만 아니라 IP 주소를 읽을 수 있어야하는데
허브와 스위치는 IP주소를 읽지 않는다 => LAN 내에서 데이터를 교환 O 외부 X
라우터는 IP 주소를 읽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즉,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나의 네트워크에 데이터인지 분별하여, 내 네트워크이면 수신하고 아니라면 다른 네트워크로 보낼 수 있는 장치. 이는 라우터를 게이트웨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게이트 웨이 : 한 네트워크(segment)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지점
결론! 허브와 스위치는 네트워크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라우터는 네트워크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