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더안에 .git이라는 폴더가 존제하면 작업디렉터리이다. (숨김 폴더로 있을수도 있음)
- 스테이지에 변경사항(수정, 생성, 삭제)된 것 중 내가 버전으로 만들고 싶은 것만 스테이지에 올려줌(add)
- 스테이지에 있는 것들을 저장소에서 버전으로 만들어 주는데 (commit)저장소에 버전이 만들어지면 스테이지는 비워진다.
- Git status : 작업 디렉터리 상태 확인
- git add <스테이지에 추가할 대상> <스테이지에 추가할 대상> : 스테이지에 올리기
- Git commit -m “<버전의 간단한 설명>” : 버전이 생성된다.
- 원격 저장소 = 컴퓨터 속에서만 있는 저장소(로컬 저장소)가 아닌, 인터넷 세상(원격 저장소)에 있는 다른 컴퓨터 속의 저장소
- 쓰는 이유 : 백업, 협업
저장소 만들기 : + 버튼을 누르고 new repository 클릭
- Clone : 원격 저장소를 복제하기
git clone <복제하고 싶은 원격 저장소 경로 주소>- Push : 내 컴퓨터에 있는 변경사항을 원격 저장소에 밀어 넣기 (업로드),
마지막으로 커밋된 것이 원격 저장소에 밀어 넣어짐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JAECHANGG/sparta-test.git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복사해서 터미널에 입력하기- pull : 원격 저장소에 있는 변경사항을 내 컴퓨터로 다운로드 해오는 것 (push와 정반대의 개념)
git pull
- 같은 줄에 다른 내용이 있으면 충돌이 일어난다.
- 한명씩 돌아가면서 컴플리트나면 수정해야함
- 오늘 하루의 코드나 정해진 시간마다 push를 해서 pull로 받아오면 컴플리트가 덜 날 수 있음
오늘은 첫날이라 OT와 팀원들과 소통하면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이번주에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고, 어떻게 만들지 기본적인 틀을 만들었다.
git과 github에서 많은 에러문제로 많이 애먹었고, 아직 해결은 못했지만 내일 팀원들과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만들기 전에 해결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