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al
부분 우리가 커스텀 할 수 있다.
주소 npm
react-daum-postcode
모달창 리셋 하는 방법
true false로 준다음
켰다 껏다 하면되는데 상황에 따라 다름
setState 작동방식은
임시저장공간에 setCount(count +1)이 들어가고 함수가 끝나면 변경이 됨
근데 setCount(count + 1)을 만나도 함수가 끝나지 않아서 아직 count는 0임
그러면 어케해야 임시공간에 있는걸 뽑아오냐
prev(prevState)가 있음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setCount( (prev) => (prev + 1) )
setCount( (prev) => (prev + 1) )
setCount( (prev) => (prev + 1) )
0은 1번째 prev를 만나면 count가 1이되어 임시저장공간에 넣고
두번째 prev는 임시저장공간에 저장된 count = 1을 불러와 2로 만들고 반복함
eslint 같은 문법 맞지 않을 경우 깃에 못올리게 하기
설치
yarn add husky@4 --dev
package.json
devDependencies밑에
"husky": {
"hooks": {
"pre-commit": "lint-staged"
}
},
"lint-staged": {}
적고 lint staged설치
yarn add lint-staged --dev
try catch 는 mutation 쓸 때 좋음
refetch가 reload보다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