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타입스크립트 기반 라이브러리는

타입스크립트도 설치해줘야 한다

yarn add ~~~ --dev해줘야됨

2. 버튼 클릭함수 하나로 만들기

event.target.id
하고 presenter에서
id 밸류값을 주고 const로 배열안에 객체를 만들어서 쓰면됨

3.페이지네이션

버튼 누르면 다음 페이지 보여주는 법 혹은 무한스크롤

4. refetch?

const { data } =useQuery(~)
data는 state임
data가 바뀌면 화면이 다시 리렌더가 됨
에 refetch라는 속성이 있다
refetch가 있다면 데이터가 바뀐다는 소리임

5.리스트 마지막 페이지 계산방법

마지막페이지는 스타트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총페이지수 / 보여줄 데이터갯수 = 결과값
결과값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올림

6. 마지막페이지 넘어가는 페이지 안나오게 하기

map을 그릴때 조건걸어서 안나오게 하면됨

7. 페이지네이션 재사용하기

페이지네이션을 쪼개야 하는데 이 전에 state끌어올리기가 필요함

8. state끌어올리기

부모 자식간에는 props로 넘기면 되는데
자식간에 다른 자식 컴포넌트의 state를 가져오려면?
다른 자식 컴포넌트의 state를 다른 자식에게 줬는데 둘 중 아무데서나 setState를 바꾸면 모든 state를 변경하려면?
=>자식컴포넌트의 state를 지우고 부모 state에 넣은다음 props로 주면 됨
그러면
부모의 state를 자식컴포넌트에서 바꾸고 싶으면?
=> 부모의 setState를 자식컴포넌트에 props해주면됨
방법1
부모한테 자식의 state, 함수 다 뽑아서 부모 컴포넌트에 박아 넣고
props를 넘기면됨
방법2
setcount만 가져오고 자식컴포넌트에서 함수 하나 만들어서 props.setcount넣고 바인딩 해주기
필요없는 것들은 다 부모에 넣기

부족한부분 intanceof 다시 공부

profile
적는 자만이 생존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