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tent space 탐색(traversal) 접근 을 사용지형의 영향, 충돌 시 반응, 다양한 이동 속도나 궤적 변화 시 미묘한 동작 변형 등)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강력한 장점이 있다.task, 지형, 캐릭터 종류가 바뀌어도 하나의 PACER 제어기로 대응할 수 있게 학습하였다.
final clean trajectory 생성classifier-free sampling다양한 궤적을 생성 <-> 주변 환경을 고려한 궤적 생성 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Test-time guidance
analytical loss fuctions 를 도입해서 test-time에 guidance 적용(2)
과거 연구에서는 아래 식을 사용해였고, noisy mean에서 cost function 를 평가하였습니다.
논문에서는 대신, clean model prediction 위에서 임의의 loss function을 평가합니다.
매 denoising step 에서, 네트워크로부터 clean trajectory()를 예측한 후, 거기에 guidance를 아래와 같이적용
(6)
그리고 위 를 이용해서, 매 denosing step의 평균 를 구합니다.


kinematic structure of SMPL[31] 이라는 humanoid model을 사용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