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에 SSH를 통해 성공적으로 연결 했다면, GUI를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 원격 데스크톱 설정을 하도록 합니다.
원격접속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XRDP를 설치해줘야 합니다. 설치하기 전에 VNC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VNC 관련 소프트에어를 제거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XRDP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VNC 소프트웨어 제거
sudo apt-get purge realvnc-vnc-server tightvnc xrdp
// XRDP 설치
sudo apt-get install xrdp
XRDP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원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접속하면 됩니다.
App Store에서 XRDP를 이용하기 위한 Microsoft Remote Desktop 앱을 설치합니다.
Microsoft Remote Desktop 프로그램에서 Add PC를 통해 라즈베리파이를 추가해줍니다.
PC Name에는 라즈베리파이의 IP를 입력한 뒤, User Account를 추가하여 라즈베리파이의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해 줍니다.
이처럼 설정한 뒤 실행하게 되면 정상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연결 도중에 "Connecting to sesman ip 127.0.0.1 port 3350"에러가 발생한다면 tight vnc server와 xrdp를 제거후 재설치하면 해결됩니다.
이제 라즈베리파이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원격으로 연결하게 되면 해상도가 맞지 않아서 화면을 보기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SH를 통해 해상도를 조정하도록 합니다.
sudo nano /boot/config.txt
해당 설정파일에 들어가서
맨 아래로 내리면 해상도 설정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hdmi_mode를 수정하도록 합니다.
저의경우 1360 x 768 60Hz로 설정하기 위해 hdmi_mode를 39로 설정했습니다.
그 다음에 Ctrl X -> Y -> Enter를 통해 설정을 저장하고 아래 명령어를 통해 라즈베리파이를 재부팅합니다.
sudo reboot
다시 Microsoft Remote Desktop으로 연결해보면 해상도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일 화면 크기에 비해 Microsoft Remote Desktop이 이상하게 안맞는다면, 원격 설정을 변경하여 해상도를 변경해 줍니다.
원격접속 정보를 우클릭하여 Edit로 들어가면 Display 탭에서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저는 유사하게 1366 X 768로 설정했습니다.
다시 접속해보면 이제 편하게 라즈베피라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정상적으로 접속이 됬는데, 이후에 확인해보니 검은 화면이 뜨고 조금 기다리면 "login successful for display 10 started connecting connection problem..."과 같은 오류가 출력되고 접속이 되지 않았습니다..
열심히 해외 포럼을 찾아보고 이런 저런 시도를 해봤지만 계속 검은화면 출력만 계속되었고 다른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습니다.
해당 계정이 사용되고 있을 때, XRDP로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고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야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줍니다.
sudo adduser -m pi // pi라는 계정 추가(-m : 홈 디렉토리 추가)
sudo passwd pi // pi 계정의 패스워드 추가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주었다면, 이 계정도 sudo를 이용할 수 있게 등록해 줍니다.
"/etc/sudoers"를 열어 root뒤에 아래 내용을 추가해줍니다.
pi ALL=(ALL:ALL) ALL
이후에 pi 계정으로 원격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