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시스템 도입 시 고려사항
-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고 유지하는 업무는 꽤 시간이 걸리며 이를 전담하는 부서 필요
- 구성원들이 디자인 시스템을 사용 및 적용하기 위한 교육 필요
- 고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일회성 프로젝트에는 재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음
작은 규모의 서비스에는 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비 효율적일 수 있다. 작은 규모에서는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일관성이 필요한 디자인 요소들을 직접 디자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더 빠를 수 있다.
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하기 좋은 시기- 제품군 및 기능의 확장
- 서로 다른 프로젝트에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적용하고 싶을 때 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해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공유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관련된 인원이 늘어날 때
- 서비스와 관련된 인원이 늘어날수록 서로 다르게 만들어낸 솔루션과 스타일이 추가되면 사용자 경험이 상이해진다.
- 채널의 확장
- 오프라인 채널이 온라인으로 확장되거나 다양한 기기에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경우 서로 다른 채널에서 공통의 디자인을 적용하고자 할 때 디자인 시스템을 통해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 디자인 원칙 정의
- 일관된 사용자 경험제공, 세간과 비용 절약, 팀간 협업 등 디자인 시스템을 통해 달성하고 싶은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목표와 브랜드 가치를 고려해 디자인 원칙을 설정
- 사용자 중심
- 간결함
- 신뢰성
- 제품 검토
-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제품에서 사용하는 공통 컴포넌트 및 패턴을 분석해, 디자인 시스템에 포함할 요소를 선정한다.
- 스타일 가이드 개발
- 디자인 원칙에 따라 스타일 가이드를 개발한다.
- 컴포넌트 디자인 및 문서화
- 재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와 패턴의 디자인을 완성하고, 사용방법과 관련 세부 사항을 문서화한다. 문서에는 디자인 시스템의 모든 구성 요소가 정확하게 기록되어야 한다.
- 디자인 시스템 구현
- 개발자는 디자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컴포넌트와 패턴을 사용해 실제 웹사이트나 앱을 구현하며 이 과정에서 디자이너와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다.
- 지속적인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
- 디자인 시스템의 운영은 전담 인력을 통해 주기적인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 작업이 필요하다.
내용 참조, 출처 : 코드스테이츠
이미지 출처 : 코드스테이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