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1

재운·2021년 3월 5일
0
post-thumbnail

웹(WEB)의 동작 원리


* 출처: 생활코딩 Youtube. WEB1 - 17. 인터넷을 여는 열쇠 : 서버와 클라이언트

예를 들어 두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있고 WEB을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고 하자. 한대의 컴퓨터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고 한대는 웹 서버(Web server)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다. 웹 서버(Web server)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는 예를 들어 http://info.cern.ch 라는 주소를 가지고 있고, 그 컴퓨터 안에는 'index.html' 이라는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고 하자.

이런 상황에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에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다가 http://info.cern.ch/index.html 이라는 주소를 입력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는 웹 서버(Web server)가 설치된 컴퓨터에 신호를 보내서 'index.html' 파일의 정보를 요구하게 되고, 웹 서버(Web server)가 설치된 컴퓨터는 자신의 하드디스크안에 있는 index.html 의 정보를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된 컴퓨터로 보내 모니터위에 index.html이라는 페이지를 띄워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를 Client라고 부르고
웹 서버(Web server)가 설치되어있는 컴퓨터를 Server라고 부른다.

그러면 우리가 웹 서버(Web server)를 사용할수 있게 된다는 것은 내 컴퓨터에 있는 문서를 전세계에 있는 누구나 볼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웹서버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은 까다로운 일이고, 직접 설치하지 않고 이 일을 업체가 대행해주는 서비스를 웹 호스팅(Web hosting)이라고 한다. 이 서비스 중에 무료이면서, 유용하고 개발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GitHub'라는 서비스가 있다.

profile
Life is memor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