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처리 시작(1) - 시각

Aelim Shin·2021년 7월 31일
0

영상처리

목록 보기
1/3

인간 관측자가 영상들을 처리할 때, 중요한 것은 영상들이 관측자에 의해 어떻게 정보로 변환되는 가를 고려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영상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자.

영상 데이터

영상 데이터는 색도, 휘도와 같은 물리적인 양으로 표현된다.
색도: 빛의 파장에 의해 정의되는 빛의 색깔이나 질
휘도: 빛의 양
이러한 물리적인 수량들은 색깔이나 밝기와 같은 속성으로 감지됨

컬러 영상정보 인지 방법

1) 색상
-> 다양한 파장이 관측자에게 쬐어짐으로써 받아들여지는 컬러에 대한 느낌
2) 채도
-> 백색으로 희석되지 않은 색깔의 정도(얼마나 순수한가)
-> 순수한 색상에 첨가되는 자연 색깔의 양이 증가할수록 채도는 감소한다
3) 명도
->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느껴지는 강도
-> 백색에서부터 회색을 거쳐 흑색까지의 모든 범위(명암도 gray level)

명도와 대비

  • 감지되는 양을 나타내는 명도와 측정에 의해 구해지는 양인 명도는 대수적인 관계가 있다.

대비 contrast

  • 영상의 가장 어두운 영역으로부터 가장 밝은 영역의 범위

  • 높은 대비를 가진 영상들은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의 범위가 크다.

  • 좋은 대비를 가진 영상이 광도를 전적으로 잘 표현한다.

  • 영상의 대비가 증가하면 관찰가 더욱 상세히 볼 수 있다.

  • 우리의 지각반응은 광도의 강도보단 광도의 대비에 더 민감하다.

참고한 공부 자료 : 영상처리 이론과 실제 (Randy Crane 저)

profile
꿈꾸는 소웨러의 개발 요모조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