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트 언어를 사용해서 플러터 앱을 개발할 수 있다.
이번 시간으로는 다트 문법을 기록할 것이다.
https://dart.dev/
사이트에 접속하면 다트 공식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
https://dartpad.dev/?
다트 패드 사이트에 들어가면 다트를 온라인에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다트 연습은 다트패드에서 가능하고, 언어에 대한 궁금증은 dart.dev에서 해소할 수 있다.
다트는 세미콜론을 필수로 적어준다. 함수는 다음처럼 'return type + 함수 name+ 인자 + 바디' 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굉장히 익숙한 폼이다.
주석은 // 로 나타낼 수 있다. 여러줄은 /* */ 로 나타낸다.
void main() {
// 이건 주석입니다.
print("Hello World");
}
dart 도큐먼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 를 사용한다. 다트 도큐먼트 툴을 통해 함수에 대한 도큐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트에서 하나의 문장은 반드시 세미콜론(;)으로 끝난다.
변수는 데이터를 담는 그릇이다. 변수는 변수명, 변수타입(변수형)이 필요하다.
변수명은 영문 혹은 숫자로 써야하고 특수문자는 안된다. (파이썬 같은 언어는 한글 변수도 쓸 수 있지만, 다트는 한글 변수명은 지정할 수 없다)
변수타입은 크게 보면 숫자형, 문자형, 논리형 등등이 있다.
변수를 선언하려면 변수형 + 변수명 + [*초기값]; 으로 표현한다.
String strName = "전영주";
String strName2 = '전일주'; // ' 이 "보다 권장된다.
숫자형은 크게 int, double 이 있다. 정수형이 int, 실수형이 double 이다.
이때 재밌는 타입이 있다. num 타입인데, num 은 정수, 실수를 포함한 숫자이다.
논리형(bool)은 참 거짓을 담는 타입이다. true, false 의 값을 가질 수 있다.
bool b1 = true;
javascript 에서는 var 이라는 타입이 있었다. var 은 타입을 자동 결정해주는 변수형이다. 다트에도 var 가 있는데, 이것은 타입을 자동 설정해준다. 아무거나 넣을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예를들어 i=10 의 순간에 i 의 변수 타입은 정수형으로 지정되게 된다. 이때 i="앵주" 처럼 변수의 값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var i = 10;
var name = "홍길동";
var w = 71.2;
var b1 = true;
final 은 변수의 타입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final int VAT = 0.1;
이라는 코드가 있을 때, VAT 의 값은 0.1로 고정되는 것이다. 만약 값을 바꾸려한다면 오류가 발생한다.
const 는 소스 실행 중에는 재정의를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const int VAT = 0.1;
final 은 소스 실행 중 한번 설정 이후로 값이 변하지 않는 것이고, const 는 컴파일 결정이 되기 때문에 소스 실행 중에는 재정의가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final 변수는 실행시점에 값을 결정하는 반면, const 변수는 컴파일 타임에 값을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