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9s 설치 및 사용법

Yowon Jeong ·2024년 6월 9일
0

개요

k9s는 쿠버네티스 작업을 터미널 기반으로 UI를 통해 kubectl 명령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툴입니다.

k9s를 설치하고 로그를 편리하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k9s 설치

https://k9scli.io/topics/install/ 에서 나온 방법으로 k9s를 설치합니다.

저는 MAC을 사용하므로 brew를 통해 k9s를 설치합니다.

brew install k9s

k9s 실행

# 주어진 네임스페이스에서 k9s를 실행
k9s -n namespace
# command 명령을 통해 k9s를 실행
k9s -c command(pod, service 등등)
# 기본이 아닌 지정한 컨텍스트에서 K9를 시작
k9s --context Context
# k9s 읽기 전용 모드로 모든 수정 명령이 비활성화
k9s --readonly

k9s 사용법

  • ? 을 입력하면 help 화면으로 이동되며 현재 선택된 리소스에 따라 사용 가능한 단축키를 보여줍니다.
  • : 을 입력 후 pod, service, namespace 등 관리할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을 입력 후 원하는 검색어로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 control + w : kubectl et -o wide
  • l : 로그
  • d : 상세 보기
  • y : yaml 파일 확인
  • e : 수정
  • s : 컨테이너 쉘로 접속

😆 Good To Know 😆

  • k9s 설정파일의 tail 값을 수정하여 더 많은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vi ~/Library/Application\ Support/k9s/config.yml
 
k9s:
    ...
  logger:
    tail: 100 # 본인이 원하는 값을 입력
    ...
  • deploy 레벨에서 l 단축키를 사용해 여러 Pod 의 로그를 한번에 볼 수 있습니다.

참조
https://github.com/derailed/k9s
https://peterica.tistory.com/276

profile
내가 개발자라니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