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ntab

agnusdei·2024년 7월 31일
0

crontab 명령어는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특정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cron은 이러한 작업을 관리하는 데몬입니다. crontab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크론 작업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기본 명령어

  1. crontab -e

    • 현재 사용자의 크론 테이블을 편집합니다. 기본 텍스트 편집기에서 열리며, 여기서 주기적인 작업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crontab -l

    • 현재 사용자의 크론 작업 목록을 출력합니다. 설정된 모든 작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crontab -r

    • 현재 사용자의 크론 테이블을 삭제합니다.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4. crontab -u 사용자이름 -e

    • 특정 사용자의 크론 테이블을 편집합니다.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
  5. crontab -u 사용자이름 -l

    • 특정 사용자의 크론 작업 목록을 출력합니다.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

크론 작업 형식

크론 작업의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path/to/command

여기서 각 필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0-59)
  • 시간 (0-23)
  • (1-31)
  • (1-12)
  • 요일 (0-7) (0과 7은 일요일)

예시:

  • 0 12 * * * /path/to/script.sh: 매일 정오(12:00)에 script.sh를 실행합니다.
  • */5 * * * * /path/to/script.sh: 매 5분마다 script.sh를 실행합니다.
  • 0 1 * * 1 /path/to/script.sh: 매주 월요일 1시에 script.sh를 실행합니다.

추가 옵션

  • @reboot: 시스템이 부팅될 때 실행됩니다.
  • @daily: 매일 한 번 실행됩니다.
  • @hourly: 매시간 한 번 실행됩니다.
  • @weekly: 매주 한 번 실행됩니다.
  • @monthly: 매달 한 번 실행됩니다.
  • @yearly: 매년 한 번 실행됩니다.

로그 확인

크론 작업의 실행 결과는 일반적으로 /var/log/syslog 또는 /var/log/cron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행 결과나 오류 메시지를 확인하여 작업이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점검할 수 있습니다.

profile
DevSecOps ⚙️ + CT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