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f 준비

agnusdei·2025년 10월 7일
0

CTF

목록 보기
143/155

CTF 독주자를 위한 핵심 준비 전략

1. 뚜렷한 목표 분야 설정 및 심화 학습

혼자서는 모든 분야를 깊게 파기 어렵습니다. 현재 관심 분야인 포렌식/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주요 목표 분야(Target Category)로 설정하고, 이 분야에서 고득점하는 것을 목표로 삼으세요.

  • 포렌식 (Forensics):

    • 메모리 포렌식(Memory Forensics) 도구인 Volatility 사용법을 숙달해야 합니다. 특히 프로세스 리스트, 네트워크 연결, 레지스트리 하이브, 커널 모듈 등 기본 플러그인의 출력을 해석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파일 시스템 아티팩트(Artifact) 분석: Windows레지스트리이벤트 로그 구조, MFT(Master File Table) 엔트리, 웹 브라우저 히스토리 저장 방식 등을 깊이 이해해야 합니다.
    • Disk ImageMemory Dump를 받았을 때, 이전에 언급했던 REMnuxFlareVM에 포함된 전문 도구를 활용하여 무엇을 찾아야 할지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 리버스 엔지니어링 (RE):

    • 정적 분석(Static Analysis): IDA Pro 또는 Ghidra와 같은 디스어셈블러(Disassembler)/디컴파일러 사용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함수 이름, 문자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호출 등을 빠르게 파악해야 합니다.
    • 동적 분석(Dynamic Analysis): x64dbg 같은 디버거(Debugger)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실행하고, 특정 지점(Breakpoint)에서 메모리나 레지스터 값을 확인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2. 만능 도구 키트(All-in-One Toolkit) 준비

CTF 환경에서 도구를 설치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모든 것이 미리 구성된 환경을 준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도구/환경용도비고
REMnux VM네트워크 분석, 메모리/디스크 포렌식, 파일 분석 (oledump.py, Volatility)Linux 기반 문제 해결 및 네트워크 환경 구축
FlareVMWindows 실행 파일 디버깅, 동적 분석, PE(Portable Executable) 분석Windows 기반 RE 문제 해결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간단한 Linux 명령 (grep, strings, sed 등) 활용Windows 환경에서 빠르고 가볍게 Linux 도구 사용
CyberChef인코딩/디코딩, 해싱, 암호 해독 등 모든 잡무 처리온라인 또는 로컬 설치 후 필수적으로 준비

3. 시간 관리 및 문제 스킵 전략

혼자서 모든 문제를 푸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효율적인 시간 관리가 승패를 가릅니다.

  • 훑어보기 (Triage): 대회가 시작되면 모든 카테고리의 문제를 빠르게 훑어보고 (5~10분), 어떤 문제가 자신 있는 분야인지, 어떤 문제가 쉬워 보이는 초기 점수 문제인지 파악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세요.
  • 1시간 규칙 (The 1-Hour Rule): 한 문제에 1시간 이상 명확한 진전이 없다면 과감하게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습관을 들이세요. 혼자 할 때는 막힌 문제에 집착하기 쉽습니다. 잠깐 쉬었다가 다시 접근하거나, 다른 문제를 풀면서 머리를 식히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메모/기록: 문제를 풀 때마다 사용한 명령어, 발견한 단서, 시도했던 방법을 간결하게 기록하세요.
profile
DevSecOps ⚙️ + CT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