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로 벡터(Path Vector)와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그 작동 방식과 특성에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는 두 프로토콜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거리 벡터 (Distance Vector) 프로토콜
기본 개념:
- 정보 교환: 각 라우터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정기적으로 인접 라우터에 전송합니다. 이 테이블에는 목적지 네트워크와 그 네트워크까지의 거리(홉 수)가 포함됩니다.
 
- 경로 선택: 라우터는 가장 짧은 거리를 기반으로 경로를 선택합니다. 각 라우터는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합니다.
 
- 핵심 특징:
- 단순한 구현
 
- 홉 수 기반의 거리 계산
 
- 루프 방지를 위한 벨만-포드 알고리즘 사용
 
 
예시 프로토콜:
-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IGRP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장점:
단점:
- 루프 가능성: Count-to-Infinity 문제 등으로 인해 라우팅 루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느린 수렴 속도: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변경 사항이 반영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경로 벡터 (Path Vector) 프로토콜
기본 개념:
- 정보 교환: 각 라우터는 목적지 네트워크까지의 전체 경로를 포함한 경로 정보를 인접 라우터에 전송합니다. 경로 정보에는 경로를 통해 지나온 AS (Autonomous System)의 목록이 포함됩니다.
 
- 경로 선택: 경로의 속성(정책, 메트릭, AS 경로 등)을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합니다.
 
- 핵심 특징:
- 경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유지
 
- 루프 방지를 위해 AS 경로를 사용
 
- 정책 기반의 라우팅 결정
 
 
예시 프로토콜:
- BGP (Border Gateway Protocol)
 
장점:
- 정책 기반 라우팅: 경로 선택 시 다양한 정책과 기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루프 방지: AS 경로를 통해 경로 루프를 방지합니다.
 
단점:
- 복잡한 구현: 경로 속성과 정책 설정이 복잡합니다.
 
- 높은 자원 소모: 메모리와 CPU 사용량이 높습니다.
 
비교 요약
| 특성 | 거리 벡터 (Distance Vector) | 경로 벡터 (Path Vector) | 
|---|
| 정보 교환 | 목적지와 거리 정보 | 경로와 경로 속성 정보 | 
| 경로 선택 기준 | 거리(홉 수) | 정책, 메트릭, AS 경로 등 | 
| 루프 방지 | 벨만-포드 알고리즘, Split Horizon, Route Poisoning | AS 경로를 통한 루프 방지 | 
| 수렴 속도 | 느림 | 상대적으로 빠름 | 
| 구현 복잡도 | 단순함 | 복잡함 | 
| 예시 프로토콜 | RIP, IGRP | BGP | 
거리 벡터 프로토콜은 단순하고 작은 네트워크에서 유용하지만,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경로 벡터 프로토콜의 정책 기반 라우팅과 루프 방지 기능이 더욱 효과적입니다.